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B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Skill and Science Process Skill in Earth Science Class

지구과학 수업에서 MBL이 중학생들의 그래프 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Jo, Mi-H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H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조미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 김종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0.10.06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MBL)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aphing skill and science process skill in Earth Science classes. MBL teaching materials for inquiry-based instructions were developed to teach five experimental topics related to the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hirty three middles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as follow: First, MBL classes we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graphing skil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efficient both in graph construction and graph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data transformation. Second, MBL classes were effective in helping participants to use science process skills,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s including formulating hypotheses, making operational definition, graphing, and interpreting data.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수업에 적용한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이하 MBL)이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중학교 지구과학 내용 중 5개의 실험 주제에 대하여 MBL 활용 탐구 활동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MBL 수업자료를 33명의 중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L 수업은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래프 능력의 하위 영역인 그래프 작성, 그래프 해석 능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자료 변환하기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MBL 수업은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금홍, 2007,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실험 수업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2 p.
  2. 송인범, 2005, 물질의 상태 변화 수업에 적용한 MBL 실험의 효과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 p.
  3. 유병길, 2006, 초등학교 학생의 컴퓨터 기반 실험 수업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1-13.
  4. 이승민, 2006, MBL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8 p.
  5. 이향미, 2002, 고등학생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 학습에서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작용적 시범실험 수업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p.
  6. 최성봉, 2008, MBL 활용 수업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그래프 작성 및 해석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9, 487-494. https://doi.org/10.5467/JKESS.2008.29.6.487
  7. 허은영, 2007, MBL 시범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탐구능력,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9 p.
  8. Adams, D.D. and Shrum J.W., 1990, The effects of 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exercises on the acquisition of line graph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skills by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777-787. https://doi.org/10.1002/tea.3660270807
  9. Bruns, J.C., Okey, J.R., and Wise, K.C., 1985,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skill test: TIPS II.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 169-177. https://doi.org/10.1002/tea.3660220208
  10. Gangoli, S.G., 1995, A study of the effect of a guided open-ended approach to physics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7, 233-241. https://doi.org/10.1080/0950069950170207
  11. Good, R. and Berger, C., 1998, The computer as a powerful tool for understanding science. In Mintzes, J.J., Wandersee, J.H., and Novak, J.D. (eds.), 1998,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384 p.
  12. McKenzie, D. and Padilla, M., 1986,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TO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 369-383.

Cited by

  1. An Analysis of Science Magazine in the View of Infographic vol.34, pp.6,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6.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