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on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South Korea

한국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방안 연구

  • Lee, Chang-Zin (Depatment of Earht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Jun-O (Depatment of Earht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창진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조준오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10.14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master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natural history and the natural history museum were surveyed by visiting not only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but also foreign ones from 1987 to 2009.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atus of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globalization.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ranked more than 100th in the world, and the research, management, and publications were situated in a rudimentary stage. Particularly, the number of researchers within the area was too small,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was poor in its function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 specialists 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the museums were too few to publish the research produc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For that matter, a strategy as the research-specimen management-publication-exhibition-education functions should be in place to operate before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begins.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이 극대화된 국립자연사박물관을 설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87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외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방문 조사와 학술적 연구를 통하여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의 기원과 변천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국내 자연사 관련 박물관의 질적 양적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 하였다. 한국의 자연사박물관 수는 세계 100위권 밖에 머물러 있고 학문적 연구 능력과 표본 관리 능력 및 출판 능력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연구원의 수가 너무 적고 연구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전시-교육 전문가도 턱없이 부족하여 연구 결과물과 학술지를 발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적화된 국립자연사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전에 연구-표본 관리-출판-전시-교육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2001,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사업의 사례연구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86 p.
  2. 과학기술부, 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 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0-7, 393 p.
  3. 과학기술부, 2004, 테마과학관 발굴 육성 및 테마과학놀이터 설치 운영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4, 320 p.
  4. 과학기술부, 2006a, 과학관 육성을 위한 기본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6-33, 226 p.
  5. 과학기술부, 2006b, 영호남 지역 국립과학관 건립 기본방향 연구. 2006도 과학기술부 정책 연구과제, 174 p.
  6. 과학기술부, 2006c, 국립과학관 운영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연구. 한국행정학회 정책연구 2006-17, 269 p.
  7.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국립과천과학관 운영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8-28, 140 p.
  8. 교육과학기술부, 2009, 제2차 과학관 육성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공고 제2009-207호, 11 p.
  9.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 http://www.scientorium.go.kr/(검색일: 2010. 5. 24.)
  10.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추진위원회, 1991, 자연사박물관의 역할과 세계적 동향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과학재단, 72 p.
  11.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 2006,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교육과정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 130-139.
  12. 김찬종, 이창진, 김희백,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최지은, 이선경, 2005, 21세기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학교 외교육기관의 전시-교육 시스템 구축 및 관람객의 행동연구: 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1차년 보고서). 학술진흥재단, 2004-074-BS0038, 289 p.
  13. 김찬종, 이창진, 김희백,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최지은, 이선경, 2006, 21세기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학교 외교육기관의 전시-교육 시스템 구축 및 관람객의 행동연구: 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2차년 보고서), 학술진흥재단, 2004-074-BS0038, 347 p.
  14. 김찬종, 이창진, 김희백,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최지은, 이선경, 2007, 21세기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학교 외교육기관의 전시-교육 시스템 구축 및 관람객의 행동연구: 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최종 보고서), 학술진흥재단, 2004-074-BS0038, 309 p.
  15. 문화관광부, 1998a, 국립자연사박물관 운영관리프로그램 기초연구. 국민대학교 부설 환경디자인연구소, 376 p.
  16. 문화관광부, 1998b, 국립자연사박물관 전시 계획 기초연구. 사단법인 한국건축가협회, 한국박물관건축학회, 285 p.
  17. 문화관광부, 1998c, 국립자연사박물관 표본자료수집.제작방안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299 p.
  18. 문화체육관광부, 2010, 2010년도 예산.기금운용계획 개요. 문화체육관광부, 211 p.
  19. 미국자연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amnh.org(검색일: 2010. 5. 24.)
  20. 변호승, 최지은, 김찬종, 2006,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메시지 디자인 원리 분석: 미국의 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2, 83-108.
  21. 신명경, 이창진, 2003,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4, 281-289.
  22.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nh.si.edu(검색일: 2010. 5. 24.)
  23. 안희수, 이창진, 박성혜, 1993, 세계의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조직 및 운영. 한국지구과학회지, 14, 135-151.
  24. 영국자연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nhm.ac.uk(검색일:2010. 5. 24.)
  25. 유준희, 2004, 과학관의 교육기능 강화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 2004-2, 282 p.
  26. 이병훈, 1993,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코스모스피어, 12, 6-13.
  27. 이병훈, 1997, 자연사박물관과 생물다양성. 사이언스북스, 서울, 270 p.
  28. 이상태, 임종덕, 2005, 자연사박물관학 입문 자연사박물관의 이해. 형설출판사, 서울, 267 p.
  29.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8,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 506-519.
  30.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357-374.
  31. 이인규, 김계중, 조재명, 이도원, 조도순, 유종수, 1994,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민음사, 서울, 405 p.
  32. 이창진, 1992a, 자연사박물관이란? 과학교육(시청각교육사), 335, 63-68.
  33. 이창진, 1992b,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의 설립 기원. 과학교육(시청각교육사), 336, 60-63.
  34. 이창진, 1992c, 미국 Smithsonian 연구소. 과학교육(시청각 교육사), 337, 8-11.
  35. 이창진, 1992d,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 과학교육(시청각교 육사), 338, 7-11.
  36. 이창진, 1993a, 미국 아메리카자연사박물관. 과학교육(시청각교육사), 340, 7-11.
  37. 이창진, 1993b, 스미스소니언자연사박물관. 코스모스피어, 13, 6-12.
  38. 이창진, 1993c,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I. 과학교육(시청각 교육사), 344, 4-9.
  39. 이창진, 1993d,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II. 과학교육(시청각 교육사), 345, 6-10.
  40. 이창진, 1993e,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과학교육(시청각 교육사), 349, 6-9.
  41. 이창진, 2002a, 자연사박물관의 역할과 필요성-미국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고생물학회지 별책(자연사박물관과 고생물학), 5, 67-72.
  42. 이창진, 2002b, 자연사박물관의 필요성과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현재. 함께하는 지구과학교육, 1, 5-8.
  43. 이창진, 신명경, 2003, 자연사박물관의 이상적인 전시 기법과 내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125-135.
  44. 일본국립과학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kahaku.go.jp(검색일: 2010. 5. 24.)
  45.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산업지원부, 정보통신부, 국무조정실, 기획예산처, 2003, 과학기술문화창달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 198 p.
  46. 최지은, 2004, 자연사박물관 관람객의 관람 유형과 관람 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15-326.
  47. 최지은, 김찬종, 2005, 창의적인 물리적 환경 유형의 탐색: 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 719-743.
  48. 최지은, 김찬종, 2006, 자연사박물관에서 엄마-아동의 상호 작용. 교육심리연구, 20, 605-631.
  49.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이선경, 2004a,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869-885.
  50. 최지은, 이선경, 신명경, 임진영, 변호승, 이선경, 이창진, 김찬종, 2004b, 자연사박물관의 예비관람객의 요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 91-106.
  51.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홈페이지: http://www.mnhn.fr(검색일: 2010. 5. 24.)
  52. 한국개발연구원, 2001,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사업. 2001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공공투자관리센터, 227 p.
  53. 한국건축가협회, 1996a,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 기본 방향 연구를 위한 국내외 사례조사 보고서. 한국건축가협회, 203 p.
  54. 한국건축가협회, 1996b,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 기본 방향 연구를 위한 국제 전문가 초빙 세미나 자료집. 한국건축가협회, 73 p.
  55. 한국과학관협회, 2009, 한눈에 둘러보는 전국 과학관 지도. 국립중앙과학관, 170 p.
  56. 한국과학재단, 2008, 지방과학관 운영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80 p.
  57. Babylon 홈페이지: http://www.babylon.com/definition/mouseion/ko(검색일: 2010. 5. 24.)
  58. Frank, A.P., 1999, Origin of earth and moon: A couple of uncertain age. Science, 283, 1863-1864. https://doi.org/10.1126/science.283.5409.1863
  59. Lee, S.K. and Kim, C.J., 2007, Understanding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 case of dyadic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 134-143.
  60. Mares, M.A., 1992, Natural history museums: Bridging the past and the futur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First World Congress on the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al History Collections, Spain Madrid, 1993, 3, 367-404.
  61. Shin, M.K., Kim, C.J., and Lee, C.Z., 2004, A study of visitor in informal learning setting: A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142-151.
  62. Wikipedia 홈페이지: http://en.wikipedia.org/wiki/Natural_history(검색일: 2010. 5. 24.)

Cited by

  1. A Case Study of the Error of Paleontology Exhibition Datas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s of Korea vol.36, pp.3,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