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no Acid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tock by Different Salt Contents

소금 첨가량을 달리한 닭 육수의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 Kim, Doog-Seok (Dept. of Culinary and Food Service Management, Kyunghee University) ;
  • Kim, Jog-Seck (Krazy Ocean Korea Corp. of Korea) ;
  • Seoung, Tae-Jong (Dept. of Food Service & Culinary,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김동석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 김종석 ((주)크레이지오션코리아) ;
  • 성태종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8.1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ass production product standardized by th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HPEC) in order to sugges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alt contained standardized chicken stock. In our experiment on chicken stock with varying its salt content,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st in S3, which contained 0.3% of salt In addition, when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divided into th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 palatable amino acid, and other types of amino acid, they showed the same distribution as the total content of free amino acid. In addition, the total content of palatable amino acid was highest among the specimens.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alatability of chicken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 salti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alt cont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ference for saltiness. It is believed to have come from the dif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ors' preference for saltiness, and it shows that the salt content has an effect on sweet taste, delicate taste, fishy smell, and color. In particular, specimen 83, which contained 0.3% of salt,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palatable amino acid, and the highest level of delicate taste in sensory tests, suggest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latable amino acid and delicate taste.

본 연구에서는 소금을 첨가한 표준화된 닭 육수 개발의 정확한 방향 제시를 하고자 고압 가열 추출 방식(HPEC: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을 적용하여 닭 육수 추출 방법을 실험적 연구로 표준화되고, 제품의 균일화를 이룬 대량 생산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모든 음식맛의 기본인 소금을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조성과 관능적 특성을 통한 닭 육수에 대한 최적의 소금 농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표준화 된 닭 육수를 만들고자 하였다. 소금 첨가량을 달리한 닭 육수의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소금을 0.3% 첨가한 S3가 가장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 맛난 맛 성분 아미노산, 그 밖의 아미노산 함량에 대하여 분리하여 알아 본 결과, 각 시료들에 대하여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수준 분포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맛난 맛 성분 아미노산의 총 함량이 전체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다. 소금의 첨가량에 따른 닭 육수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짠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짠맛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서는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각각의 관능평가 요원들의 짠맛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로 보여지며, 또한 소금 첨가량이 단맛, 구수한 맛, 비린내, 색에 대하여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금을 0.3%를 첨가한 S3 시료는 맛난 맛 아미노산의 함량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구수한 맛에서 가장 높은 평가 결과를 보여 맛난 맛 아미노산과 구수한 맛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추측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