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on the Building of 'Mathematical Process' in Mathematics Curriculum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의 신설에 대한 소고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9.12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are consist of the following domains: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The mathematics standards which students have to learn in the school are presented in the domain of 'Contents'. 'Contents' are consist of the following sub-domains: 'Number and Operation', 'Geometric Figures', 'Measures',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Pattern and Problem-Solving' (Elementary School);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Letter and Formula', 'Function',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hese sub-domains of 'Contents' are dealing with mathematical subjects, except 'Problem-Solving'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this study, the sub-domain of 'mathematical process' was suggested in an equal position to the typical sub-domains of 'Contents'.

현재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는 '가. 성격' '나. 목표', '다. 내용', '라. 교수 학습 방법', '라.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에서 구체적으로 학습해야 할 수학 성취기준은 '다. 내용'에 학년별로 제시되어 있다. '다. 내용'은 초등학교의 경우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문제해결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위 영역들은 초등학교의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서의 문제해결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학적 주제들을 다루는 내용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다. 내용'에 5개의 내용 영역 이외에 '수학적 과정'이라는 하위 영역을 신설하여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창의 중심의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Supported by : 한국과학창의재단

References

  1. 나귀수 (2005). PISA 2003 수학 문항 정답률 분석, 학교수학 7(3), 221-235.
  2. 나귀수․황혜정․임재훈 (2003).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403-428.
  3. 방정숙 (2009). 수학적 창의성의 개념 모색. 대한수학회 수학교육논총 27, 23-44.
  4. 이미경․손원숙․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 (2004a). PISA 2003 공개문항 분석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이미경․곽영순․민경석․채선희․최성연․최미숙․나귀수 (2004b).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일본문부성 (1999a). 소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8. 일본문부성 (1999b). 중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9. 일본문부성 (2008a). 소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10. 일본문부성 (2008b). 중학교학습지도요령, 東京: 대장성인쇄국.
  11. 채창균․유한구 (2008). 사교육 경쟁, 바람직한가?: 사교육 무한경쟁과 교육생산성, 한국 교육 어디로 가고 있나: 성찰과 전망,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12. California State Board of Education (1999). Mathematics Framework for California Public Schools-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California State Board of Education.
  1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류희찬․조완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