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Medical Disputes Precedent

의료분쟁 판례분석

  • 임복희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 Received : 2010.08.23
  • Accepted : 2010.10.21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Unexpected results caused by medical service are defined as malpractice, and the doctor must bear the responsibilities following the medical treatment. Malpractice disputes are disputes between patients, who are seen as the only victim in this way, and medical personnel who do not admit to the charges. Unfortunately, in reality, an official approach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in the instance of such disputes does not exi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event similar forms of medical disputes from occurrence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prepare by analyzing the medical disputes preceden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ype of medical institution, hospitals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s 62.9%. Second, Among total medical disputes, the cases surgery accounted for 27.8%, violation of duty care accounted for 20.6% and that of medical treatments 11.3%. Third, For a mean agreed amount by medical department, it was the highest in obstetrics & gynecology as 38,384,000 won. In conclusion, the most desirable method of dispute resolution is to prevent a cause of dispute to the root.

의료사고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사고'를 말하며, 의사는 환자치료에 대한 책임을 진다. 의료분쟁은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생각하는 환자와 환자 진료에 대한 의무를 다하지 못한 의사 개인 간의 분쟁이다. 불행하게도 실제로 의료분쟁은 상호이해를 통하거나 상호 의사소통을 통한 공무상의 접근대신에 의료분쟁소송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은 의료분쟁의 판례 분석을 통하여 의료분쟁의 유사한 사례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기관 설립구분에서는 병원급이 62.9%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의료분쟁의 발생 원인으로는 수술이 27.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주의의무 위반 20.6% 그리고 진료가 11.3%를 차지하였다. 셋째, 진료과목에 따른 평균 배상급액은 산부인과가 38,384,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의료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의료분쟁의 원인 자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진료과정에서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소, 진료위험도 상대가치개발연구 최종보고서, 2005.
  2. 보건의료법학회 보건의료법학편찬위원회, 보건의료법학, 동림사, p.113, 2004.
  3. 민혜영, 의료분쟁소송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학과 박사학위논문, 1996.
  4. 한국소비자원, 의료피해구제의 효율적 처리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2006.
  5. 신현호, “최근 의료소송 판례동향”, 인권과정의, 제355호, pp.106-125, 2006.
  6. 김병일, “ADR에 의한 의료분쟁 해결의 현황과 과제-조정과 화해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법 학연구, 제16권, 제1호, pp.239-260, 2005.
  7. 여종현, 민사상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법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 신현호, 의료소송총론, 육법사, p.77, 2000.
  9. 신은하,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이진호, “의료의 질과 위험관리”, 인제의학, Vol.22, No.1, pp.29-42, 2001.
  11. 의료사고연구소(http://www.clinic-clinic.com).
  12. 의료사고법률연구소(http://www.medilaw.net).
  13. 김용성, 우리나라와 미국의 의료과오 비교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임태근, 대법원 판례에서 의료과실 판단기준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5. 이인영, 무과실의료사고의 피해자 구제제도를 위한 실태조사 및 인식도 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03.
  16. 이상일, “의료의 질과 위험관리”, 한국의료QA학회 2000년 가을정기학술대회 및 연수교육, 2000.
  17. 손명세, 민혜영, 이일학, 이미진, “의료사고분쟁에 소요되는 비용추계”,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3, No.2, pp.56-76, 2005.

Cited by

  1. Development of a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Scale (PI-PSM)for Hospital Employee vol.13, pp.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32
  2. The state of medical malpractice caused by private practice physicians (2010-2012): analysis through incident reports at Korean Medical Association Medical Indemnities Mutuals vol.58, pp.4, 2015, https://doi.org/10.5124/jkma.2015.58.4.336
  3. Analysis of the Legal Effect of Settlement Agreements Prepared in Medical Litigation Following Plastic Surgery in Korea vol.44, pp.4, 2017, https://doi.org/10.5999/aps.2017.44.4.283
  4. Analysis of lawsuit cases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in Korea vol.94, pp.3, 2018, https://doi.org/10.4174/astr.2018.94.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