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lleges

대학의 행정정보공개와 상대적 효율성 분석

  • Received : 2010.09.15
  • Accepted : 2010.10.13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lleges of Chung Cheong reg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ase of efficiency for CCR, the number of efficient universities(CCR value is one) are five universities. and mean value of CCR fo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Second, the number of efficient colleges(CCR value is one) are three colleges. and mean value of CCR for colleges located in Daejeon region was most high. Third, in case of efficiency for BCC, the number of efficient universities(BCC value is one) are nine universities. and mean value of BCC fo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Fourth, the number of efficient colleges(BCC value is one) are seven colleges. and mean value of BCC for colleges located in Chungbuk region was most high.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가장 최근의 객관적 자료인 대학행정정보 공시자료를 입수하여 충청지역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R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교는 15개 대학교 가운데 5개 대학교인데, 충남지역에 3개 대학교, 충북지역의 2개 대학교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대전지역 사립대학교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청지역 2년제 사립대학의 경우 CCR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은 13개 대학 가운데 3개 대학교인데, 대전지역에 2개 대학, 충북지역의 1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대전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충북지역 사립대학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CC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교는 15개 대학교 가운데 9개 대학교인데, 충남지역에 6개 대학교, 충북지역의 3개 대학교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대전지역 사립대학교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CC 효율성이 1인 사립 대학은 13개 대학 가운데 7개 대학인데, 대전지역에 3개 대학, 충남지역의 2개 대학, 충북의 경우 효율성이 1인 대학은 2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이 대전과 충남지역 사립대학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치, 박태종, 문홍태, “대학 효율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 제23권, 제1호, 1998.
  2. 이상호, 이홍배, “DEA를 이용한 대학이 효율성 평가”, 산경연구, 제7권, 제1호, pp.1-24, 2000.
  3. 신현대,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연구”,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3호, pp.45-63, 2006.
  4. A. Charnes, W. 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pp.429-444, 1978.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5. R. D. Banker, A. Charnes, and W.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pp.1078-1092, 1984.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6. 김선애, “DEA를 이용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pp.137-160, 2005. https://doi.org/10.4275/KSLIS.2004.38.2.137
  7. 김우식, “서울지역 대학 BI의 운영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제17권, 제2호,pp.83-105, 2003.
  8. 나민주, 김민희,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4권, 제2호, pp.205-237, 2005.
  9. http://www.mest.go.kr
  10. http://www.academy.info.go.kr

Cited by

  1.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vol.13, pp.3, 2013,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3.173
  2. Efficiency Comparison and Performance Targets for Academic Departments in the Local Private College Using DEA vol.39, pp.4, 2013, https://doi.org/10.7232/JKIIE.2013.39.4.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