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diagnostic scale for life planning in late Adolescence

청년기 생활설계 진단척도 개발

  • Choi, Bo-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onkwang University)
  • 최보아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07.14
  • Accepted : 2010.10.17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scale to diagnostic life planning in late adolescence. A preliminary 32 item scale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 a survey. 896 people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using the preliminary scale. A series of test, such as test-retest, item-to-total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lpha}$ reliability were conducted using the survey data and a scale comprising 31 items was constructed finally. The diagnostic scale for life planning in late Adolescence consisted of seven factors : (1) complete growth minds (2) life- plan (3) variety experiences (4) close relationships (5) management of healthy body (6) practical finance-plans (7) active preparation of future job. The scale is useful as a guideline for managing life of the late Adolescence. And it is helpful to them to make plan for the better life.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서.남종걸.정지용.이종환(1983). 발달과업, 청소년대책위원회 편. 청소년백서.
  2. 남수정(2006).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 척도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75-190.
  3. 박아청(2004). 청년기 자아정체감의 발달단계의 특성분석. 교육심리연구, 18(1), 301-312.
  4. 박장희.정옥분(2002). 복합순환모델에 의한 가족체계유형과 청년기 자아정체감 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49-63.
  5. 윤영란(2007).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123-168.
  6. 윤진(1985).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이희영.최태진(2005). 부모의 양육행동과 후기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와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6(2), 93-123.
  8. 장현선(2009). 인터넷 쇼핑에서의 충동구매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및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27-139.
  9. 전상진.정주훈(2006). 한국후기 청소년 세대의 발달경로와 성장유형. 한국사회학, 40(8), 262-285.
  10. 지영숙(1998). 현대가족생활설계론. 서울 : 도서출판 신정.
  11. 지영숙(2004). 가족생활설계론. 서울 : 도서출판 신정.
  12. 지영숙.이영호(2001). 생활설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221-234.
  13. 지영숙.이광자.곽소현(2003).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활진단 척도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1), 23-29.
  14. 지영숙.최보아(2002). 은퇴기 생활설계를 위한 진단척도의 개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 5, 177-194.
  15. 최남숙(2005). 대학생의 시간사용 만족수준과 자아정체감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81-93.
  16. 최보아(2010). 생활설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성과와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79-90.
  17. 최혜영.신혜영.최미숙.조성연(2009).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10.
  18. 홍봉선.남미애(2003).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19. Baacke, D. (1999). Jugend und Jugendkulturen. Weinheim & Munchen : Juventa Verltag.
  20. Chickering. Authur W. & Associatiates (1981). The Modern American College. anFrancisco ; Jossey. Inc, Publishers.
  21. Hurrelmann (1999). Jungendprase Jungend. Weinheim & Munchen : Juventa Verltag, 50.
  22. Levinson, D.(1978). The seasons of man's life, N. Y. : Knop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