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ing on parents' satisfactory factor to elementary school which their children go to. - focusing on Anyang city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 영향 분석 - 안양시 사례

  • Kim, Ho-Il (Department of Information & Statistics, Anyang University) ;
  • Chun, Heui-Ju (Department of Data Management,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김호일 (안양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 전희주 (부산외국어대학교 데이타경영학과)
  • Received : 2010.07.23
  • Accepted : 2010.10.30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In this study, we applied a hierarchial linear model to Anyang city data because students and their schools are hierarchial data structure. As a result, main factors which affect parents' satisfaction to school which their children go to are parents' satisfaction to Anyang city's education policies and areas which their schools located at. We suggest based on the analysis by this hierarchial linear model that if Anyang city make educational policies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order for students to study in public school without private education and if Anyang city improve environment related with school like those of new cities, parents' satisfaction to school which their children go to will be increased.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안양시 교육 자료는 학생과 학교간이 위계적인 수준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위 수준의 특성을 반영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안양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이 느끼는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에 부모들의 시 교육정책에 대한 만족 정도, 학군선호의 신도시 지역을 나타내는 학교의 거주지가 그 다음 크게 영향을 미쳤다.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교육 없이 공교육만으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고 신도시와 같이 학교의 제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안양시의 교육정책을 펼쳐 나간다면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는 지금보다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 (1998). 교육 및 사회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의 다층모형과 전통적 선형모형과의 비교분석 연구. <교육평가연구>, 11, 207-258.
  2. 김경성 (2007). <다층자료분석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심리학회 제6차 연구방법론 워크샵.
  3. 김경화, 김영화 (2006). 중등학교에서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선형모형. <교육사회학연구>, 16, 1-23.
  4. 김호일 (2005). 반복자료에 대한 Proc Mixed의 이용에 관한 소고. <한국자료분석 학회>, 7, 2067-2080.
  5. 박찬석, 주경식 (2007). 학업성취도의 공간적분포 패턴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 65-76.
  6. 백순근, 신효정 (2008).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 분석. <교육평가연구>, 21, 1-24.
  7. 서민원 (2003).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 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16, 43-63.
  8. 유정진 (2006). 위계적 선형모형의 이해와 활용. <아동학회지>, 2, 169-187.
  9. 조진남 (2009). 체중감량자료에 대한 적정 공분산형태모형 산출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20, 377-385.
  10. 최재성 (2007) 순서형 자료에 대한 비례승산 혼합모형. <한국데이타정보과학회지>, 18, 471-479.
  11. Cho, Gyo Young (2008). Modified n-level skip_Lot sampling inspection plans. Journal of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 811-818.
  12. Choi, Jaesung (2008) A marginal logit mixed-effects model for repeated binary response data. Journal of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 313-420.
  13. Goldstein, H. (1995).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2nd Edition, Edward Arnold, London.
  14. Milliken, G. A. and Johnson, D. E. (1992). Analysis of messy data, Volume 1: Designed Experiments, Chapman and Hall, New York.
  15. Raudenbush, S. W. and Bryk, A. S. (2002). H ierarchical linear models, Sage Publications Inc., Newbury Park, CA.
  16. Singer, J. D. (1998). Using SAS PROC MIXED to mit multilevel models, hierarchical models, and individual growth model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23, 323-355. https://doi.org/10.2307/1165280
  17. Wolfinger, R. D. (1996). Heterogeneous variance-covariance structures for repeated measures. Journal of Agricultur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tatistics, 1, 205-230. https://doi.org/10.2307/140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