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Use of Health Family Support Centers and Its Activation Plan - Focused to Gyeonggi-do -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 Yang, Jung-Sun (Family/Child Care/Youth Research Department,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
  • Kim, Sung-Hee (Deft. of Social Welfare,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2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figuring out the current state of 26 family-health support centers in Gyeonggi-do, in order to prepare an activation plan for the centers. These centers are the main mediators of the family health opera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center users' satisfaction and dema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65,794 participants from 9,960 businesses were processed. The majority had attended various integrated family services, followed by family counseling and/or family-friendly culture-establishing businesses. Second, the main users' profiles were as follows: average age, 41; average number of persons in the family, 3.78; education above foundation-level degree; diverse jobs that included special occupations; average monthly incomes of 3,390,000 won; and a middle-class living standard (as self-described by participants). Third, the users' main concern for their families was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y had an interest in education and counseling. Although they thought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suitable solutions, they hesitated because they did not think their problems were serious enough to merit them. Four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ir center's program was generally high, at 3.9-4.2 points. The majority of them said they would attend again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자, 계선자, 박미석, 장진경, 김연화, 류진아, 한은주(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전반적 평가. 용산구숙명여자대학교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8), 123-139.
  2. 김정옥(2004). 지방분권과 건강가정 지원센터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 김진희(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2), 25-37.
  4. 류왕효(2004). 보육정보센터 기능강화 방안. 보건복지부.
  5.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세부운영지침.
  6. 보건복지가족부(2009).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보완판.
  7. 보건복지가족부(2009). 사회복지관 관련 업무처리 운영요령 안내.
  8. 보건복지가족부.(2009). 정책마당-가족.
  9. 송혜림, 성미애, 진미정, 이승미(2005). 건강 가정에 대한 논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179-190.
  10. 송혜림, 성미애, 진미정, 이승미(2008). "서울특별시 자치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지원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1. 송혜림, 장진경(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과 운영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2. 오윤자(2006). 네트워트-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의 활성화 방안. 대한가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 원소연, 장진경(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및 홍보 활성화 방안. 대한가정학회지 44(8), 101-116.
  14. 원소연, 장진경(200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모델에 관한 기초조사. 조직과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7), 129-145.
  15. 윤경자(2008). 건강가족을 위한 한국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85-101.
  16. 윤홍식(2004).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4.
  17. 여성가족부(2005).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안 마련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2005-44).
  18. 여성가족부(2009). 2008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세부운영지침.
  19. 이대직(2006). 가족정책의 지역화 방안에 대한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글로벌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이선형, 김근홍(2005).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가족복지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지, 21.
  21. 이재경(2004). 한국가족은 '위기'인가?: '건강가정' 담론에 대한 비판. 한국여성학 20(1).
  22. 이희선(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욕구조사. 성남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3. 장진경, 오제은, 한은주, 류진아, 원소연 (2006a).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1-16.
  24. 장진경, 오제은, 한은주, 류진아, 원소연 (2006b). 중앙, (광역)시. 도,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대한가정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5. 장진경, 오제은, 한은주, 류진아, 원소연 (2006c). 시. 도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모형 개발 연구. 역할 및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51-178.
  26. 정영금, 정지영, 조성은(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정 건강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2), 39-50.
  27.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7).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3년 사업백서.
  28.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5a). 건강가정지원센터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29.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5b). 중앙 시. 도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및 체계 구축 연구보고서.
  30. 한국가족관계학회(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활성화 방안 및 가족생활교육 Fair 추계학술대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