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rend and Design Characteristics on the Korea Men's Business Casual

한국 남성 비즈니스 캐주얼의 경향 및 디자인 특성

  • Kim, Cho-L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um, Hae-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t. of Clothing &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초롱 (전북대학교 의류학과) ;
  • 염혜정 (전북대학교 의류학과.전북대학교 인간생활과학 연구소)
  • Received : 2010.07.20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Business Casual has been launched because of 'Friday Wear' in the 1990s and in Korea, the business casual has been settl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ve-day work week. The idea of business casual is that 'Business' and 'Casual wear' are combined. It is the attire that people should wear the jacket for formality and people can wear both on or off du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en's business casual appeared in Seoul collections from 2009 till now, they can be classified in 'Classic & Traditional business casual', 'Modern business casual', 'Natural business casual', 'Feminine business casual' and 'Sporty business casu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n's business casual and the tren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analysis of Seoul Collection, 'Classical Classic & the Traditional', 'Modern of the Contemporary design', 'Natural of the Natural design' and 'the Sporty business casual of the Separate Coordination' including jeans, have presented themselves.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Korean business men's business casua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I, 'Classic & Traditional business casual'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then 'Sporty', 'Modern' and 'Natural business casual' account for the rest in order. 'Feminine business casual' hasn't presented itself.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I & IV, Korean business men's business casual has been concentrated on 'Classical & Traditional'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have not appeared in variety. There has been no such audacious attempt, and items, the characteristics of coordination, colors and materials are not in variety compared to the collection.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subsistent characteristics of Koran business men's business casual,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men's business casual can be said to represent themselves in "Separate Coordination with the previous items of formal suits".

Keywords

References

  1. Edwards, T. (1997). Men in the mirror. London: cassell, pp. 2-3.
  2. 류희경, 김미자, 조효순, 박민여, 신혜순, 김영재, 최은수 (2001). 우리 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pp. 164- 165.
  3. 함상혁 (2001). 이지캐주얼웨어(Easy Casual Wear) 디자인 연구: 남성 신규브랜드 상품기획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
  4. 2000년 F/W조 출근복 착장 경향 분석(2001. 1. 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5. 박현숙, 김유라 (2006). 컬러 마케팅의 이해와 적용: 국내 남성복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9(2), p. 163.
  6. 박소민, 이주현 (2002). 소비자 선호도 및 라이프스타일 분석에 기초한 의류상품기획의 제안: 남성 정장류의 캐주얼화 트렌드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6(5). pp. 59-71.
  7. 이은혜 (2003). 뉴 보헤미안으로서의 보보스 스타일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현숙, 김유라 (2006). 컬러 마케팅의 이해와 적용: 국내 남성복 중심으로. 한국공예논총, 9(2), pp. 153-173.
  9. 강승희, 이명희 (2009). 실물사진과 컴퓨터그림에 의한 남성 캐주얼 웨어 이미지 지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 pp. 1-10.
  10. 네이버 지식백과.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
  11. 文化出版局(1999). Fashion Dictionary. Tokyo: 文化出版局, p. 62.
  12. 文化出版局(1999). Fashion Dictionary. Tokyo: 文化出版局, p. 59.
  13. 文化學園 ファッション情報センタ (1992). Soen Eye, (7). Suit, p. 13.
  14.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121.
  15. Edwards, T. (1997). Men in the mirror. London: cassell, pp. 17-20.
  16. 신수연, 김용덕 (1999). 성인남성의 캐주얼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4), p. 598.
  17. Business Casual 4W1H (2009. 5. 12).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8. 한국패션협회 2002년 S/S 패션수요예측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02. 9). 한국패션협회 2002년 S/S 패션 수요 예측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남성복 시장분석-2002년 S/S 시장분석 및 F/W 시장전망. p. 18.
  19. 진상현 (2009. 11. 4). 삼성전자, ㅁㅁ를 위해 넥타이 풀었다. 머니투데이. 자료검색일 2009. 12. 8, 자료출처 http://www.mt.co.kr
  20. 염혜정 (1991). 한국 신세대의 복식양식: 1980년대 신문과 잡지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43.
  2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서울 20세기 생활.문화변천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 815
  22.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69.
  23.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70.
  24. 남미경 (1992). 한국 남성복 시장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0-31.
  25.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80.
  26. 염혜정 (1991). 한국 신세대의 복식양식: 1980년대 신문과 잡지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44.
  27.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269.
  28. 염혜정 (1991). 한국 신세대의 복식양식: 1980년대 신문과 잡지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29. 정은정, 황선진 (2004). 현대 남성복 변화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잡지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7, p. 80.
  30. 유송옥, 권혜욱 (1996). 한국 현대 남성복 변천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 26, p. 292.
  31. 은영자, 최윤혜, 형승희 (1998). 매일신문에 나타난 복식현상에 관한 연구(1):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중심으로. 복식, 37, p. 142.
  32. 21C 한국인에 관한 트렌드 보고서 (2004.08.04).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3. 2000s/s 남성복 market movement (2000. 8. 3). 삼성 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4. 2002년 국내 패션시장 10대 트렌드 (2002. 12. 19).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5. 2000s/s 남성복 market movement (2000. 8. 3). 삼성 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6. 현대패션100년 편찬 위원회 (2003). 현대 패션 100년. 서울: 교문사, p. 318.
  37. 한국패션협회 2002년 S/S 패션수요예측정보시스템 구축사업 (2002. 9). 한국패션협회 2002년 S/S 패션 수요 예측 정보시스템 구축사업 남성복 시장분석-2002년 S/S 시장분석 및 F/W 시장전망, p. 96.
  38. 2007년 하반기 패션시장 동향 (2007. 8. 31).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39. 김경인 (2006). 21세기 남성 니트웨어에 나타난 여성화 경향: 메트로섹슈얼과 크로스섹슈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p. 382.
  40. Review 2007, Preview 2008-2007년 패션산업 10대 이슈와 2008년 전망(2007. 12. 4).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0. 3. 23,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41. 강승희, 이명희 (2009). 실물사진과 컴퓨터그림에 의한 남성 캐주얼 웨어 이미지 지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 pp. 1-2.
  42. 주보림 (2009). 고부가가치 패션 산업으로의 한국적 컬렉션 연구: 국내외 주요 컬렉션 현황 및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p. 527.
  43.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p. 45.
  44. D.GNAK by KANG.D, 09 F/W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45. MVIO, 09 F/W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46. 박미애 (2009). 개인 이미지에 따른 연예인 헤어스타일의 선호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47. 신상옥 (2001). 현대 패션과 의생활. 서울: 교문사, p.141.
  48. Andy & Debb Homme (2010 S/S), 서울패션센터,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49. Dominic's Way (2009 S/S). 서울패션센터,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0. G.I.L HOMME, 09 S/S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1. Beyond closet, 09 F/W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2. 김수영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메탈릭 컬러의 색채 특성과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8.
  53. Caruso, 09 S/S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4. Caruso, 10 S/S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5. 조규화, 이희승 (2004). 패션미학. 서울: 수학사, p. 47.
  56. MVIO, 09 F/W Seoul Collection, 자료검색일 2010. 5. 20, 자료출처 http://www.sfc.seoul.kr
  57. 연구자 직접 촬영, 2010. 4. 29. 시청역.
  58. 연구자 직접 촬영, 2010. 5. 1. 강남역.
  59. 연구자 직접 촬영, 2010. 4. 30. 강남역.
  60. 연구자 직접 촬영, 2010. 4. 30. 시청역.
  61. 연구자 직접 촬영, 2010. 5. 1. 시청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