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Generation of Design Products for Defence Systems Acquisition Programs based on the Systems Engineering Methodology

국방획득사업에서 SE 기반 설계 산출물 생성에 관한 연구

  • 김재철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 모델기반시스템공학 연구실) ;
  • 이재천 (아주대학교 시스템공학과 모델기반시스템공학 연구실) ;
  • 조준용 ((주)한화 종합연구소) ;
  • 이재철 ((주)한화 종합연구소)
  • Received : 2010.08.04
  • Accepted : 2010.11.08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budget for the acquisition and R&D for the national defence systems has come out of tax payers' pockets. On the other hand, the weapon systems become more complex and thus the underlying costs tend to increase continuously. As such, the need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budget has drastical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is necessity, the Defenc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of Korea has issued the instruction No.65 dictating that systems engineering (SE) must be applied when weapon systems are acquired or developed in Korea. Specifically, a list of the products that should be generated from the acquisition programs is provided. The problem is that the unexperienced companies in the defence systems industry cannot easily know how to approach the new reg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ossible remedy to solve the problem. To do so, we first review the list of the products that are required by DAPA. Then, an appropriate systems engineering processes is studied for each product. Then, a necessary link between each product and SE process activity is identified and summarized. The result obtained may be useful as a stepping stone to develop more efficient method for the list of the products.

현대의 첨단 무기체계는 다양한 성능과 기능의 필요에 의해 사용자 (무기운용자 포함) 요구사항이 복잡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방위사업청 훈령 제 65호에서는 무기체계 개발 시 시스템공학의 적용을 강제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공학에서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다양하고 각 단계별 산출물이 많다. 국내의 많은 방위산업관련조직 (국방부, 방위산업체, 각 연구소) 들에서 시스템공학에 대한 성숙도와 관점의 차이가 있다. 시스템공학 산출물이 사업 성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함에도, 사업과 다른 하나의 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획득사업에서 시스템공학의 적용에 대한 핵심 요소에 대한 내용을 분석 정리하고 또한 각 단계 산출물의 사이의 추적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방위산업 관련 조직의 공통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통합함으로써 국방획득사업에서 예산 초과 및 개발기간 지연 등의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사업에서의 위험 요소를 감축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시스템엔지니어링 가이드북, Ver. 1.0, 방위사업청, 2007, pp.74-86.
  2.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Systems Engineering Fundamentals. Fort Belvoir, VA: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DAU) Press, 2000.
  3. 예용남, "업체주관 연구개발 사업수행을 위한 SE 프로세스 적용", 제4회 국방획득 SE 적용사례 발표회, 방위사업청, 두산 DST, 2010년 9월 29일.
  4. 박영주, "전자전 체계 적용을 위한 체계공학 환경 구축 사례연구 ( TAC-ELINT 체계 개발 중심으 로)", 제4회 국방획득 SE적용사례 발표회, 국방과학연구소 전자전 체계개발단, 2010년 9월 29일.
  5. J. Martin, Systems Engineering Guidebook : A Process for Developing Systems and Products. Boca Raton, FL: CRC Press, 2000, pp.97-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