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한국 연근해 수온의 시공간적 장기변동 특성

  • Seong, Ki-Tack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
  • Hwang, Jae-D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Han, In-Se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Go, Woo-Ji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Suh, Young-Sa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Jae-Young (Marine Environment Policy Division,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 Received : 2010.09.14
  • Accepted : 2010.12.2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observed temperature data by the Serial Oceanography Investigatio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during last 41 years from 1969 to 2008 showed that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East, West and South Sea of Korea were clearly increased. In case of 100m depth, temperature was increased in the South Sea of Korea, but it was decreased in the East Sea. Especially, the temperature around the coastal area in the East Se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long-term change of temperature on 100m depth. It should lead to the decreasing trend in the long-term change of temperature on 100 m depth in the entire East Sea. The increasing trend was clearly larger in wintertime than in summertime by a factor of about 2 It means that the long-term increasing trend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is usually caused by the distinctive increasing trend in wintertim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on the 6stations around the coastal area in the Korean Waters, air temperature was found to be continuously increased, but wind speed to be gradually decreased in winter. The weakness of vertical mixing by decreasing of wind speed caused to make the surface mixed layer shallow. it could be considered that the increasing trend of surface temperature was caused by weak mixing between surface and intermediate layers.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지난 41년간(1968-2008년) 정선해양관측점에서 관측한 수층별 수온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동해, 서해 및 남해 해역의 표층수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00m 수층의 경우 남해해역은 상승하지만 동해해역은 오히려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해역은 쿠로시오난류의 지류인 쓰시마난류의 강화로 인해 전 수층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전 수층에서 수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만드는 원인이라 생각된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하강의 경향은 주로 연안역의 하강 정도가 근해역의 상승정도보다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동해해역을 평균하면, 동해해역 전체적으로는 수온이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해역 100m 수층에서 수온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바람, 해류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 중 기상요소인 풍속의 변동과 수온변동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계절별로는 남해를 제외하고 동계의 상승률이 하계의 상승률보다 약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장기적인 수온상승은 주로 동계의 수온 상승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남해의 경우 하계의 수온 상승률이 동계의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쓰시마 난류의 세력 강화 및 중국대륙에서 유출되는 양자강수의 영향이라 생각된다. 우리나라 연안의 6개 관측점에서 관측한 기온과 풍속 자료 분석결과 점차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풍속이 약해지는 따뜻한 겨울이 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풍속의 약화는 해양에서 표면혼합층의 수심이 얕아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표면혼합층의 두께가 얕아지게 되면 표층과 저층의 혼합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표층의 따뜻한 물이 저층으로 전달되는 양과 저층의 차가운 물이 표층으로 전달되는 양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표층의 수온은 점차 상승하게 되며, 예전 표면혼합층과 저층의 경계층 수온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수산진흥원(2001), 한국해양편람 제4판, pp. 53-80.
  2. 기상청 (2001), 한국의 기후표, p.623.
  3. 정희동, 황재동, 정규귀, 허승, 성기탁, 고우진, 양준용, 김상우(2003), 한반도 근해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화 추이,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2호, pp. 59-64.
  4. 황재동, 조규대, 정희동, 박성은(2003), 동중국해에서 양자강 유출량 변화에 따른 저염확산 수치실험,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2호, pp. 53-57
  5. Cox, J. D.(2000), Weather for Dummies, IDG Books Worldwide, Inc., pp. 268-271.
  6. Hahn, S. D.(1997), Role of SST warming for living resources in Korean coastal waters. KODC Newsletter, 30, pp. 19-28.
  7. Han, I. S., Y. S. Suh, K. T. Seong and W. J. Go(2008), Long-term change if temperature in relation to climate-induced conditions in the Korean Waters, Proc. 4th PEACE Ocean Science Workshop, pp. 24-25.
  8. IPCC(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e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UK. p. 881.
  9. Kang, Y. Q.(2000),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J. Fish. Sci. Tech. 제3권 제3호, pp. 173-179.
  10. Panagiotopoulos, F., M. Shahgedanova, A. Hannachi and D. B. Stephenson(2005), Observed Trends and Teleconnections of the Siberian High: A Recently Declining Center of Action, J. Climate 18, pp. 1411-1422. https://doi.org/10.1175/JCLI3352.1
  11. Pond, S. and G. L. Pickard(1983) Introductory Dynamical Oceanography(2nd Ed), Pergamon Press Ltd., Headington Hill Hall, Oxford OX3 OBW, England, p. 329.
  12. Richardson, A. J. and D. S. Schoernan(2004), Climate impact on plankton ecosystems in the Northeast Atlantic, Science 305(5690) pp. 1609-1612. https://doi.org/10.1126/science.1100958
  13. Zhang, C. I., J. B. Lee, S. Kim and J. H. Lee(2000), Climatic regime shifts and their impacts on marine ecosystem an fisheries resource in Korean water. Progress in Oceanography, 44: pp.17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