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Legume Green Manure Crops for Spring-Sowing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

중부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춘파용 두과 녹비작물 선발

  • 조현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전원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성기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민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종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김충국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광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Received : 2010.10.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use of green manure crop for sustainable agriculture can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and herbicides, and the cultivation area of the green manure crop has gradually increased.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information about appropriate use of spring-sown green manure crop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gume crops on application of sown green manure in spring. Each of the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alfalfa, chinese milk vetch, crimson clover, crotalaria, hairy vetch, lupin, red clover and white clover was grown in upland soil of silt loam. The dry weight and C/N ratio of all crops increased throughout the growing period, while C/N ratio of all crops during growing period was lower than 25. The highest value of dry weight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was observed in crimson clover, followed by red clover, lupin, chinese milk vetch and alfalfa. Also, the highest value of contents of nitrogen, phosphous and potassium of green manure crops were observed in hairy vetch, alfalfa and crimson clover,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41.3, 4.3 and 35.9 g $kg^{-1}$, respectively. In terms of nitrogen yield, crimson clover that showed 71 kg N $ha^{-1}$ was the highest yield among the green manure crops, followed by chinese milk vetch of 51 kg $ha^{-1}$, red clover of 46 kg $ha^{-1}$, and hairy vetch of 41 kg $ha^{-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imson clover, chinese milk vetch, red clover, and hairy vetch could be a suitable green manure crop for spring sowing.

최근 친환경농업과 화학비료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녹비작물의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중부지역에서 동계 월동이 가능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알팔파로 그 종류가 적어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녹바작물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녹비작물을 선발하고자 봄에 두과녹비작물 8종을 밭토양에 파종하여 녹비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수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생체중으로 23.6 ton, 건물중으로 4.16 ton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루피너스, 자운영, 알팔파 순이었다. 또한 녹비수량은 모든 두과녹비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별 질소 함량은 헤어리베치에서 kg당 41.3 g으로 가장 높았고 자운영, 네마장황,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알팔파 순으로 32.2, 29.5, 29.2, 25.8 및 24.2 g이었다. 인산 함량은 알팔파(4.3 g $kg^{-1}$)와 크림손클로버 (4.2 g $kg^{-1}$)에서 높았고,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 루피너스 순이었다. 칼리함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35.9g $kg^{-1}$로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알팔파, 헤어리베치 순이었다. C/N율은 녹비작물 8종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C/N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5 미만이었다. 두과녹비작물별 질소생산량은 녹비작물 8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여 6월 19일에 가장 많았으며 작물별로는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71 kg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자운영 (51 kg), 레드클로버 (46 kg), 헤어리베치 (41 kg) 순이었다. 따라서 녹비작물의 건물수량과 C/N율, 질소 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수원지역에서 봄에 파종하여 녹비로 이용 가능한 두과녹비작물은 크림손클로버,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가 우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업과학기술원. 2006. 유기농업녹비작물재배기술. 농업과학기술 2006-05.
  2. 농촌진흥청. 2002. 두과녹비작물 재배와 이용.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123. p. 161.
  3. 농촌진흥청. 2008. 녹비작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비료 절감 연구. 농촌진흥청. p. 261.
  4. 류종원. 2008.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량.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4): 409-420.
  5.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2000a. 동계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 비교. 한국잡초학회. 20(3): 193-198.
  6. 서종호, 이호진, 허일봉, 김시주, 김충국, 조현숙, 이정삼. 2000b. 헤어리베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45(6): 400-404.
  7. 송범헌, 이철원, 김홍식, 정봉진, 남택수, 이승환, 김은정, 김윤정, 손은호. 2003. 겨울철 유휴 경작지에서의 헤어리베치 재배 이용 환경 친화형 농업기술 개발. 농림부 연구보고서. p.122.
  8. 藤黑與三郞. 1923a. 有望なる耐寒性新綠肥 へアリペツチに就て(上). 朝鮮農業會報. 18(8): 29-36.
  9. 藤黑與三郞. 1923b. 有望なる耐寒性新綠肥 へアリペツチに就て(下). 朝鮮農業會報. 18(9): 27-34.
  10. Blevins R. L., J. H. Herbeck and W. W. Frye. 1990. Legume cover crops as a nitrogen source for no-till corn and grain sorghum. J. Prod. Agric. 4: 62-67.
  11. Gary, R. C. and A. F. Silvernail. 2001. Residual nitrogen and kill date effects on winter cover crop growth and nitrogen content in a vegetable production system. 11(2)
  12. Ranells, N. N. and M. G. Wagger. 1997. Winter gress-legume bicultures for efficient nitrogen management in no-till corn. Agric. Ecosyst. Environ. 65: 23-32. https://doi.org/10.1016/S0167-8809(97)00054-6
  13. Seo, J. H., H. J. Lee., I. B. Huh and S. J. Kim. 1998. Effect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green manure on maize growth and nitrogen uptake. RDA. J. Agro-Envir. Sci. 40(1): 62-68.
  14. Smith M. S., W. W. Frye and J. J. Varco. 1987. Legume winter cover crops. Adv. Soil Sci. 7: 95-139. https://doi.org/10.1007/978-1-4612-4790-6_3
  15. Vaughan, D. J. and G. K. Evanylo. 1998. Corn response to cover crop species, spring desiccation time, and residue management. Agron. J. 90: 536-544. https://doi.org/10.2134/agronj1998.00021962009000040016x
  16. Wagger M. G. 1989. Time of descication effects on plant composition and subsequent nitrogen release from several winter annual cover crops. Agron. J. 81: 236-241. https://doi.org/10.2134/agronj1989.00021962008100020020x
  17. William S. C. 2001. Website address: http://fcn.agronomy.Psu.edu/. 1: 9
  18. Yadvinder-Singh, Bijay-Singh and C. S. Khind. 1992. Nutrient transformations in soils amended with green manure. Adv. Soil Sci. 20: 237-309. https://doi.org/10.1007/978-1-4612-2930-8_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