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National Control Policy for the Use of Encryption Technologies by an Accused Person

피의자 개인의 암호이용 통제정책에 대한 연구

  • Baek, Seung-Jo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Korea University) ;
  • Lim, Jong-In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Security, Korea University)
  • 백승조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9.26
  • Accepted : 2010.12.1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y the dysfunctions of cryptography as dual-use goods and national domestic encryption control policies like key recovery system and decryption order. And we examine risks of the breach of the peoples' constitutional rights like the right to privacy in these policies and analyze these policie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the ban on the over-restriction. Finally, we propose the direction and requirements of our national domestic encryption control policy that maintains the balance of peoples' constitutional rights and investigatory powers.

본 논문은 범죄에 사용될 수 있는 암호의 이중사용의 특성 때문에 발생 가능한 수사권 약화라는 암호의 역기능과 키복구 시스템과 복호화명령제도와 같은 피의자 개인의 암호이용에 대한 통제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피의자로서의 개인의 암호이용에 대한 통제 정책에서 발생가능한 수사권과 프라이버시권 등 다양한 개인의 헌법적 권리들에 대한 침해 위험을 상판L고, 각 정책을 과잉규제금지원칙을 적용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본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권리와 수사권 확보를 보장하는 균형 잡힌 국내암호통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과 대안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2단계 BK21 사업

References

  1. Bert-Jaap Koops, The crypto controversy, Kluwer Law International, 1999.
  2. 고승철, 박광진, 정연수, 주덕규, "정보사회에서의 암호이용촉진을 위한 법제도 환경 개선 방안," 한국정보보호진흥원, 1999.
  3. 신일순, 오병철, 박민성, 정찬모, 강준모, "암호활용과 촉진을 위한 법제도 정비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99.
  4. 박민성, "정보적 자기결정권과 암호," 한국정보보호센터 '99 정보보호우수논문집, 1999.
  5. 서광현, "암호기술의 적법한 사용을 위한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3.
  6. 이승선, "방송불가 판정 광고사전심의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69호, pp. 219-249, 2005.
  7. Orin Kerr, "The fourth amendment in cyberspace : can encryption create a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Connecticut Law Review, Vol. 33, pp. 503-533, 2001.
  8. "UK court parts with US court regarding compelled disclosure of encryption keys," Privacy Law Blog, 31 Oct. 2008. http: //privacylaw.pro-skauer.com/2008/10/ articles/international/uk-court-partswith- us-court-regarding-compelled-dis closure-of-encryption-keys/
  9.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정책연구실, "영국 수사 권한 규제법(RIPA) Code of Practice 주요내용," 2006.
  10. Foundation for Information Policy Research, "FIPR response to the home office," 2006.
  11. Bert-Jaap Koops, "Crypto and self-incrimination FAQ," Version 1.1, Aug. 1999, http://rechten.uvt.nl/koops/casi-faq. htm#2
  12. Caspar Brown, "Some open problem with RIPA Pt.3," Aug. 2006.
  13. Gerard Walsh, "Walsh Report: Review of policy relating to encryption technologies," Australian Attorney-General's Department, 1997.
  14. "유럽-인터넷 감시기구 설치 싸고 英정부-업계 설전," 전자신문, 2002년 6월 17일
  15. 김소정, 임종인, 오일석, "사이버범죄의 암호화된 증거 수집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학회지, 13(5), pp. 113-122, 2003년 10월.
  16. Bert-Jaap Koops, "Crypto Law Survey," Version 26.0, Jul. 2010.http://rechten.uvt. nl/koops/crypto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