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simulation of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ue to construction of the Giheung Tunnel

기흥터널 건설에 따른 지하수 변화 수치모델링

  • Lee, Jeong-Hwan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mm, Se-Yeo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eong, Jae-Yeol (Radwaste R&D Center, Kore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Corporation) ;
  • Jeong, Jae-Hyeong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Ki-Seok (Mineral Resour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Nam-Hoon (Dowha Consulting Engineers Co., Ltd.) ;
  • Kim, Gyoo-Bum (K-water Institut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이정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정재열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방폐물기술개발센터) ;
  • 정재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부) ;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 김남훈 ((주)도하종합기술공사 지반공학부) ;
  •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Received : 2010.11.22
  • Accepted : 2010.12.2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We performed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xcava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the Giheung Tunnel) in order to evaluate the rate of groundwater flow into the structure and to estimate the groundwater level around the structure. The tunnel was constructed in Precambrian bedrock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Geological and electrical resistivity data, as well as hydraulic test data, were used for the numerical modeling. The modeling took into account the strike-slip faults that cross the southern part of Giheung Tunnel, as these structures influence the discharge of groundwater into the tunnel. The transient modeling estimated a groundwater flow rate into the tunnel of $306\;m^3$/day, with a grout efficiency of 40%, yielding good agreement between the calculated change in groundwater level (6.20 m) and that observed (6.30 m) due to tunnel excavation.

수치모델링은 지하굴착 지역의 지하수 유입량과 주변 지역의 지하수위 변회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편마암복합체로 이루어진 경기도 용인시 기흥터널 지역의 터널 건설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과 터널내 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리지질학적 및 지질학적 자료와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특히 기흥터널의 남부에 위치하는 주향이동단층이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부정류 수치 모델링 결과 그라우팅 효율이 40%일 때, 지하수 유출량은 약 $306\;m^3$/day로 평가되었으며, 이때 관측된 지하수위 변동폭(6.30 m)과 계 된 지하수위 변동폭(6.20 m)은 서로 비슷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엽, 신종호, 양유홍, 주은정, 2006, 배수시스템 수리기능 저하가 터널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2006 춘계 학술발표회, 970-979.
  2. 김강주, 1999, 지하수환경영향예측을 위한 지하수 모델의 적용현황 및 문제점: 환경영향평가서와 먹는샘물환경 영향조사서를 중심으로, 지하수환경, 6(2), 66-75.
  3. 김건영, 이정모, 장태우, 1999,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이용한 지하 천부 파쇄대 조사, 지구물리, 2(3), 217-224.
  4. 김남훈, 2009,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와 수리적 특성을 이용한 지하수 모델링,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5. 김남훈, 함세영, 김태용, 정재열, 안정훈, 전항탁, 김형수, 2008, 울산광역시 언양지역의 지하수 저류 변화량 산정 및 지질과의관련성, 지질공학, 18(3), 263-276.
  6. 김득호, 이종현, 박규태, 김성창, 최유미, 서유리, 노경명, 함세영, 2008, 낙동강 중류 유역의 단열계 특성 및 지하수계와의 관련성, 지질공학, 18(4), 483-492.
  7. 김인수, 김종열, 1983, 경상분지 연양단층 지역에 대한 전기비저항 탐사연구, 광산지질, 16, 11-18.
  8. 김진춘, 사공명, 2008, 터널 주변 지반의 손상 및 그라우팅 보강, 기술강좌, 한국터널공학회지, 1(3), 50-61.
  9. 김형수, 1997,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방법을 이용한 충적층 지하수위 변동 감지, 지질공학, 7(2), 139-151.
  10. 대우건설, 2006, 터널해석보고서, 100p.
  11. 문상호, 김영석, 하규철, 원종호, 이진용, 2010, K-1 기지 주변 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특성, 지질자원환경, 43(2), 149-162.
  12. 박삼규, 김정호, 김창렬, 조성준, 손정술, 고경석, 2005, 침출수 감시를 위한 전기비저항 모니터링 기법, 2005년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97-100.
  13. 박창근, 1996, 우리나라 지하수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정립과 기법의 개발, 지하수환경, 3(1), 15-20.
  14. 손문, 함세영, 김인수, 이융희, 정훈, 류춘길, 송원경, 2002,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분석, 지질공학, 12(3), 305-317.
  15. 신종호, 신용석, 윤종열, 김호종, 2008,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터널라이닝 누수조사 연구, 터널기술, 10(3), 257-267.
  16. 신휴성, 권영철, 2009, 미시추 구간의 정량적 지반 등급 분류를 위한 윈도우-쉬프팅 인공 신경망 학습 기법의 개발, 터널기술, 11(2), 151-162.
  17. 안희윤, 정재형, 조인기, 박삼규, 김기석, 정래철, 2007, 전기비저항 모니터링을 이용한 터널 주변 지반상태 변화 파악, 2007년 한국물리탐사학회.대한지구물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93-100.
  18. 오인섭, 윤윤영, 1972, 수원도폭 지질보고서 (1:50,000), 국립지질조사소, 21p.
  19. 오찬성, 김준모, 2008,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부지에서의 지하수 유동과 염문 및 방사성 핵종 이동 삼차원 수치 모의, 지질학회지, 44(4), 489-505.
  20. 유광호, 김은혜, 2010, 해저터널에서의 그라우팅 보강을 위한 안정성 연구, 12(2), 145-155.
  21. 이정환, 함세영, 정재열, 정재형, 김남훈, 김기석, 전항탁, 2009, 지하수 변동자료와 모델링을 이용한 직리터널의 지하수 유출량 평가, 지하수토양환경, 15(5), 29-40.
  22. 정상용, 김병우, 강동환, 심병완, 정상원, 2007, 터널 굴착에 의한 화강암 대수층의 수리 수문 및 지하수위변동 분석, 지질공학, 17(4), 635-645.
  23. 조성일, 김천수, 김경수, 송무영, 전한석, 2004, 지하공동굴착시 수리지질조사 자료를 이용한 저장공동 심도의 지하수체계 특성 연구, 지질공학, 14(1), 93-104.
  24. 주은정, 김용기, 신종호, 권오엽, 2010, 해저터널의 그라우팅 최적 설계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터널기술, 12(5), 349-358
  25. 최미정, 이진용, 구민호, 이강근, 2004, 터널모델링시 개념 모델에 따른 지하수 유동 예측결과 비교 연구, 지질공학, 14(2), 223-233.
  26. 최병수, 안중기, 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57-65.
  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기흥터널 전기비저항탐사 모니터링 기술의 적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16p.
  28.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 제5차 토양환경단기교육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심층 교육교재, 4-1-4-43.
  29. 한정상, 1998, 지하수환경과 오염, 박영사, 1071p.
  30. 허창환, 2003, MODFLOW를 이용한 터널의 지하수 유동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36(1), 129-142.
  31. Alan, E.K, 2006, Geology for engineers and enviromnental scientists, 3rd ed., Prentice-Han, New Jersey, 696p.
  32. Davis, G.M. and Horswill, P., 2002, Groundwater control and stability in an excavation in Magnesian Limestone near Sunderland, NE England, Engineering Geology, 66, 1-18. https://doi.org/10.1016/S0013-7952(01)00100-4
  33. Fetter, C.W., 2001, Applied Hydrogeology; Prentice-Hall, New Jersey; 598p.
  34. Goodman, R.E., Moye. D.G., van Schalkwyk, A. and Javadel, I., 1965, Groundwater Inflows during Tunnel Driving, Engineering Geology, 2, 39-56.
  35. Hamm, S.-Y., Cheong, J.-Y., Lee, J.-H., Jeong, C.W. and Park, J.Y., 2008,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change in associ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low/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in South Korea, MODFLOW and More 2008 Groundwater and Public policy, 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 (IGWMC), Colorado School of Mines, Golden City, USA, 264-268.
  36. Ikuma, M., 2005, Maintenance of the undersea section of the Seikan Tunnel,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20, 143-149. https://doi.org/10.1016/j.tust.2003.10.001
  37. Keller, G.V. and Frischknecht, F.C., 1966, Electrical methods in geophysical prospecting, Pergamon.
  38. Kitterod, N.O., Colleuille, H, Wong, W.K. and Pedersen, T.S., 2000, Simulation of groundwater drainage into a tunnel in fractured rock and numerical analysis of leakage remediation, Romeriksporten tunnel. Norway, Hydrogeology Journal, 8, 480-493. https://doi.org/10.1007/s100400000089
  39. Kolymbas, D. and Wanger, P., 2007, Groundwater ingress to tunnels - the exact analytical solution,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22, 23-27. https://doi.org/10.1016/j.tust.2006.02.001
  40. Long, J.C.S., Gilmour, P. and Witherspoon, P.A., 1985, A model for steady fluid flow in random three-dimensional networks of disc-shaped fractures, Water Resources Research, 21, 1105-1115 https://doi.org/10.1029/WR021i008p01105
  41. Meiri, D., 1985, Unconfined groundwater flow calculation into a tunnel, Journal of Hydrology, 82, 69-75. https://doi.org/10.1016/0022-1694(85)90047-2
  42. Ming, H, Meng-shu, W., Zhong-Sheng, T. and Xiu-Ying, W., 2010, Analytical solutions for steady seepage into an underwater circular tunnel,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25, 391-396. https://doi.org/10.1016/j.tust.2010.02.002
  43. Molinero, J., Samper, J. and Juanes, R., 2002, Numerical modeling of the transient hydrogeological response produced by tunnel construction in fractured bedrocks, Engineering Geology, 64, 369-386. https://doi.org/10.1016/S0013-7952(01)00099-0
  44. Olorunfemi, M.O., Olarecaju, V.O. and Avci, M., 1986, Geo- physical investigation of a fault zone-case history from left, southwest Nigeria, Geophysical prospecting, 34, 1277-1284. https://doi.org/10.1111/j.1365-2478.1986.tb00528.x
  45. Pollard, D.D. and Aydin, A., 1988, Progress in understanding jointing over the past centur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100, 1181-1204. https://doi.org/10.1130/0016-7606(1988)100<1181:PIUJOT>2.3.CO;2
  46. Schwartz, F.W., Smith, L. and Crowe, A.S., 1983, A stochastic analysis of macroscopic dispersion in fractured media, Water Resources Research, 19(5), 1253-1265. https://doi.org/10.1029/WR019i005p01253
  47. Shimojima, E., Tanaka, T., Hoso, Y., Yoshioka, R. and Davis, G. B., 2000, Using short- and long-term transients in seepage discharge and chemistry in a mountain tunnel to quantify fracture and matrix water fluxes, Journal of Hydrology, 234, 142-161.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55-9
  48. Telford, W.M., Geldart, L.P., Sherriff, R.E. and Keys, D.A, 1979, Applied Geophysic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5p.
  49. Todd, D.K. and Mayer, L.W., 2005, Groundwater Hydrology, 3rd ed., John Wiley and Sons, Inc., 636p.
  50. Woodcock, N.J. and Schuber, C., 1994, Continental strikeslip tectonics, in Hancock, P. I., (ed), Continental deformation, Pergamon Press, 251-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