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Technology Assessment in Korea

한국의 기술영향평가, 현황과 과제

  • 유지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실) ;
  • 한민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R&D타당성분석단) ;
  • 임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단) ;
  • 안병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실) ;
  • 황기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녹색성장전략실)
  • Received : 2010.04.20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As the impact of S&T on daily life increases, efforts to predict and anticipate the adverse effects of S&T development on human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s are reinforced. In addition, public character of S&T demands wider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n R&D process. In response to these demands, Technology Assessment (TA) wa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S&T policy formation. The Korean TA exercises were carried out 5 times since 2003 through 2008 by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the necessity of which was incorporated in the S&T basic law. TA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upgrad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ocedure, but still in progress to take into account of problems exposed so far. In this paper, problems of TA in Korea are examined in terms of law, sponsor, management, and utilization.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such as sophistication of methods and linking to national S&T planning are proposed.

과학기술이 일상 생활에 미치는 파급력이 갈수록 커지면서 과학기술의 개발 및 확산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미리 예측하여 대비하고자 하는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이 갖는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과학기술 연구개발 과정에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공공의 책임을 가져야한다는 요구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과학기술 정책 형성 과정에 반영하기 위하여 기술영향평가가 제도화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과학기술기본법에 근거하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03년부터 '08년에 이르기까지 총 5회의 기술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의 수행주체, 기술선정 과정, 활용 측면에서 꾸준하게 진화하여왔으나, 향후 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개선해야 할 문제점 또한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술영향평가의 문제점을 실제 운영되었던 경험에 근거하여 제도, 수행주체, 운영, 결과물의 활용 측면에서 점검해보고, 방법론을 고도화하기 위한 방법 및 국가과학기술기획과의 연계 강화 등을 포함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선방안과 함께 우리 사회의 성숙도가 높아진다면 기술영향평가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9), '2008년도국가재난질환대웅기술영향평가보고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과학기술부(2002), '기술영향평가 제도운영을 위한 추진방안 기획연구',과천: 과학기술부.
  3. 과학기술부(2007),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과천: 과학기술부.
  4. 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4), ' 2003년도기술영향평가보고서' , 서울: 과학기술부.
  5. 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6) , ' 2005년도나노소재기술영향평가보고서' , 서울: 과 학기술부.
  6. 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7), ' 2006년도 UCT기술영향평가 보고서',서울과학기술부.
  7. 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08), '2007년도 기후변화대웅기술영향평가 보고서' ,서울 과 학기술부.
  8. 김병윤(2003), "기술영향평가 개념에 대한 탐색: 역사적접근", '기술혁신학회지, 6(3) : 306-327.
  9. 김환석, 송성수(1998),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rew Webster원저)' , 서울 한올아카데미.
  10. 류영수(2007), "기술영향평가의 메타평가 모형 개발 및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박진희, 김명진, 조아라(2007), ''한국의 시민참여 현황과 전망', 시민과학센터 10주년 기념 심포지움', 서울: 시민과학센터.
  12. 박희제(2006), "기술영향평가의 정치적 함의와 현실 : 나노기술영향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통합모텔의 탐색 '2006년한국과학기술학회특별학술대회' , 서울: 한국과학기술학회
  13. 오동훈 (2004),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모색", '과학기술정책' , 15(2) : 20-29.
  14. 이영회, 김명진(2007), '<시민공개포럼> 평가보고서' , 서울: 시민과학센터
  15. 임현, 유지연(2007), "한국형 기술영향평가의 새로운 방향성 정립 및 정책 활용도 제고 방안", 'KISTEP 이슈 paper 2007-01' ,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6. Coates, J. F. (1976) , "Technology assessment-a tool kit.", Chemtech, June, 372-383.
  17. Hetman, F. (1973), Society and Assessment of Technology, Paris: OECD.
  18. van Eijndhoven, Josee C.M. (1997), "Technology Assessment : Product or Process?", Technol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54(2) : 269-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