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of Exposure Parameters in Brain Computed Tomography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노출 파라미터의 최적화

  • Ko, Seong-Jin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 Kang, Se-Sik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고성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 강세식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0.08.01
  • Accepted : 2010.09.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s a range of CT parameter values in Brain CT which are minimizing patient absorption dose without compromising the image quality and optimal exposure condition. We measured dose and image noise using conventional CT parameters in Brain CT. In additon, we evaluated dose, SNR and PSNR of head phantom images while changing kVp and rotation time. I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dose that was achieved from dose reproducible experiments in conventional head CT condition is determined by changing kVp and rotation time. Dose and PSNR is related to low dose-high resolution condit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using proposed conditions is effective for imaging to compare with conditions proposed by the manufacturer.

본 연구는 영상의 질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환자의 흡수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두부 전산화 단층촬영의 노출매개변수 값의 범위를 알아보고 선량감소가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 적용 가능한 최적의 노출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부촬영 시 사용되는 기존의 전산화단층촬영 변수로부터 얻어진 영상의 선량과 잡음성분을 측정하였다. 또한 두부용 팬텀을 사용하여 관전압과 회전시간을 변화시켜서 영상을 얻었으며, 선량과 잡음(Noise), 최대량 신호대 잡음비(PSNR) 측정을 통해 실험 영상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첫째, 관전압과 회전시간을 변화시켜 선량을 측정한 결과 기존 두부촬영조건에서 얻어지는 선량의 재현성 실험에서 선량 측정값의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저 선량과 고화질의 노출 조건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선량과 잡음값의 관계는 의미가 없었으며, 선량과 PSNR값의 관계는 의미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촬영조건으로부터 선량의 감소가 필요한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노출조건을 사용한다면 환자의 흡수선량은 감소시키면서 기존에 제시된 노출조건으로부터 얻어진 영상과 유사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UNSCEAR 2000 Report: Source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2000
  2. 김승희: CT 엑스선 검사에서의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 방사선안전관리시리즈, 19, 2009
  3. 임현술: 보건의료인의 물리적 인자에 의한 건강장애, 전리방사선을 중심으로, J Korean Med Assoc, 53(6), 483-491, 2010 https://doi.org/10.5124/jkma.2010.53.6.483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4. 상반기 건강보험 심사통계지표, 14-15, 2004
  5. 김상연, 한진우, 박인우: Cone beam CT와 일반 CT의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 비교평가,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38, 7-15, 2008
  6. ICRP Publication 87: Managing Patient Dose in Computed Tomography, Elsevier Ltd, The boulevard, Langford Lane, Kidlington, Oxford, 2004
  7. 고인호, 김경근, 김동윤 등: Textbook of computed tomography, 청구문화사, 2003
  8. ICRP Publication 102: Managing Patient Dose in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MDCT), Elsevier Ltd, The boulevard, Langford Lane, Kidlington, Oxford, 2007
  9. Tomas B, Maria P.Q: No-reference PSNR estimation algorithm for H.264 encoded video, 16th European Signal Processing Conference, switzerland, 2008
  10. Ding W, Tong Y, Zhang Q, Yang D: Image and Video Quality Assesment Using neural Network and SVM, Tsinghua Science and Technology , 13(1), 112-116, 2008 https://doi.org/10.1016/S1007-0214(08)70018-X
  11. Williams MB, Raghunathan P, More MJ, et al.: optimization of exposure parameters in 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 Medical Physics 35(6), 2008
  12. http://www.radiology.wisc.edu/sections/neuro/protocols/Neuroradiology_CT_Protocols.pdf
  13. 구현우: 소아 CT: 방사선량에 대한 이해와 영상기법의 최적화, 대한영상의학회지, 52, 1-5, 2005
  14. 한동균, 양한준, 김문찬, 고신관: MDCT에서 화질과 방사선량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30(2), 129-138, 2007
  15. 김현수, 김긍식, 김태훈, 유병규: Multi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MDCT) Coronary Agniography에서 Arrhythmia Correction이 영상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27(2), 7-12, 2004
  16. 조성인, 강석주, 기영환: 양방향 화소값 변환을 사용한 백라이트 디밍 시스템, SoC 2010, 193-196, 2010
  17. Suk-ju K, Young Hwan K: Image Integritybased Gray-Level Error Control for Low Power Liquid Crystal Displays,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55(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