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into the Types of Ceremonial Costume Worn for the Performance of Sejong Hoi-ryeyeon

세종 회례연 공연을 위한 의례복식의 유형 고찰

  • Baik, Young-Ja (Dept. of Home Econmic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백영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Published : 2010.01.31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reproduction of King Sejong's costume presented in at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in the late of 2008. The performance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idea of ceremonial music of hoi-ryeyeon produced in the reign of king(1433). The reproduction of King Sejong's costume was undertaken to keep pace with the times and to pay due regard to the performance costum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King Sejong's Hoi-ryeyeon ceremonial costume is a royal robe(gonryongpo), the best one of king's clothing. The basic type of gonryongpo is that of fastening four yongbos to danryoung. The type of gonryongpo is, therefore, made with reference to unearthed articles and portrait of the first king of the Yi dynasty. The yongbo is larger one than the late period of the Yi dynasty in the light of portrait of the first king of the Yi dynasty. The supporting type of gonryongpo is that of gonryongpo, dapho, and chulrik, king's dress granted by Myeong dynasty. In the late period jikryeong was used as supporting dress and fixed to be lining and included jikryeong. Therefore the order of supporting dress was jikryeong, dapho and chulrik and was reproduced with reference to unearthed articles in the early Yi dynasty, as did the small piece of crown, belt and shoes.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 世宗 15년(1433) 1월 1일 "上御勤政殿 設會禮宴如儀 始用雅樂"
  2. 樂學軌範, v.1 60b-61b. 卷之二 世宗朝會禮宴儀. (재) 민족문화추진회 (1979). 국역 악학궤범 I. 서울: 신흥인쇄주식회사, pp. 144-146.
  3. 조선왕조실록. 世宗 13년(1431) 10월 3일
  4. 조선왕조실록. 世宗 13년(1431) 9월 24일
  5. 조선왕조실록. 世宗 14년(1432) 5월 3일
  6. 조선왕조실록. 世宗 8년(1462) 2월 20일
  7.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188-205.
  8.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p. 183-188.
  9. 조선왕조실록. 明宗 14년(1559) 1월 1일
  10. 조선왕조실록. 世宗 26년(1444) 3월 26일
  11. 이강칠, 유희경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주)현암사. p. 15.
  12. 자료검색일 2009. 12. 1. 사진출처 http://www.sejong korea.org/sub/sub02_01.php
  13. 백영자, 최해율 (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p. 187.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국역 국조상례보편 서울: 민속원. pp. 38-39.
  15. 이강칠, 유희경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주)현암사. pp. 16-17.
  16. 국립민속박물관 (2009). 변수 묘 출토 유물 문화재지정 조사.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34.
  17. 이은주 (1998).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 - 金欽祖(1461-1528) 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 문화연구. 6(2). p. 133.
  18. 진현자 (2006). 조선 초기 단령의 모양 및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66.
  19. 이은주 (1998). 김흠조 분묘의 출토복식 자료분석.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 보고서. 경북. 영주시. p. 230.
  20. 1500년대 추정 청주한씨 묘 출토,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소장, 출처는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서울(주)삼화인쇄 출판사/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 336.
  21. 대전광역시.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2007).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대전: 대전광역시.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p. 11.
  22.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 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p. 364.
  23. 이은주 (1998). 김흠조 분묘의 출토복식 자료분석.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창묘 발굴조사 보고서. 경북: 영주시, p. 232의 무분류를 참고
  2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국역 국조상례보편. 대전: 민속원. pp. 38-39.
  25. 유희경 (1982). 조선조 초기의 복식, 한국의 복식. 서울: 한국문화재보호협회. p.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