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Change in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Mentoring Program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 Received : 2010.01.26
  • Accepted : 2010.12.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a beginner secondary science teachers' class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ree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as mentors and three beginner science teachers as mente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ntors have been teaching science secondary school for more than 13 years with specialty in science education, and mentees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three years in secondary schools. They were matched one-toone on grounded characteristics that were revealed from pre-interview.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lesson plans of mentees' classes, videotaped lessons of mentees, consultation meetings between mentors and mentees, and interviews with mentees as well as mentors. The consultation meetings and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hen transcribed with the videotaped lessons. To examine the change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lesson observed after four sessions of mentoring was compared to the lesson before mentoring on the basi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terpretative approach. The analytical framework addresses the four asp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ch include beginner of interaction (initiation), the types of the question, the student response and the feedback. After four sessions of collaborative mentoring,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s were initiated by students more often. Teachers' questions increasingly turned into thought-provoking querie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The students responded in the form of statements instead of asking question more frequently. Also, teachers provided more delayed feedback than immediate feedback. These changes of interaction patterns showed that students took a leading role in classroom interaction and they were encouraged to think. From this result, we argue that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developed the ability to make students think and to support them in coming to an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rough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이들이 멘토링을 통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경력이 3년 이하인 초임중등과학교사 3명을 멘티교사로 선정하고, 교과교육분야에서 전문성이 있는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과정에 있는 12년 이상의 경력교사를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기술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실행 전후 저널 작성, 수업 실행, 멘티 멘토의 1대1 멘토링 협의회, 멘토교사의 수업관찰 등으로 구성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교사들에게 5회 적용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수업 녹화 동영상과 녹화 동영상 전사본을 상호작용 시작의 주체, 교사 질문의 형태, 학생 응답의 형태, 교사 피드백의 형태로 범주화된 수업 분석틀에 따라 상호작용 요소와 상호작용 유형으로 나누어 멘토링 실시전인 1차시와 멘토링을 4회 실시한 후인 5차시를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이 연구 결과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단순확인 질문이, 학생 응답의 형태는 단답응답이, 교사 피드백의 형태는 즉각피드백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유발이 촉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 역시 교사의 질문(Initiation)에 대한 학생의 응답(Response)에 교사가 즉각피드백(feedback)을 사용하는 단순 IRF형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작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회 협력적 멘토링이 실시된 후에 초임중등교사들의 수업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요소는 학생에 의해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사고질문이 증가하였다. 학생 응답의 형태는 설명이나 질문 응답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학생의 응답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은 지연피드백의 사용 비중이 높아져 학생들이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호 작용 유형은 교사의 질문(I)에 대한 학생의 응답(R)과 교사 피드백(F)의 반복 횟수가 다양한 복합적인 I(RF)n형으로 변화하였다. 4회 협력적 멘토링 과정을 거치면서 초임중등과학 교사들의 교수기술이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서 학생들의 사고작용을 촉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미(2007). 초임 유아교사의 멘토링 경험과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간의 관계 분석. 한국보육과학지, 7(2), 91-108.
  2. 고문숙, 이순덕, 최정희, 남정희(2009). 초임 과학 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64-579.
  3. 곽영순(2003). 질적연구로서 과학수업 비평-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4. 권혜진(2002).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협 력적 멘터링 적용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룡(2004).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교내 커플(Couple)제 장학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수향(2008). 교사-유아간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방법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아동교육, 17(1), 81-94.
  7. 김혜선(2006). 교사되기를 향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육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26(2), 283-308.
  8. 김희창(2000). 웹기반 원격 교원연수에 관한 의식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류방란(2002). 중학교 초임교사들의 당면 문제와 대처 방식. 한국교육, 29(1). 59-86.
  10. 박성미(2005). 교대생의 초등교사 역할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기능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8(2), 221-242.
  11. 박은혜 외(1998). 초임교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교사교육, 5(1). 한국교사교육학회.
  12. 박찬욱, 강순미(2008). 멘토링(mentoring)에 의한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변화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13-231.
  13. 배진옥(2008).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저널쓰기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부산광역시교육청(2009). 우수 선배 교사와 신규 과학교사의 멘토링으로 우수 신규교사 양성을 위한 '2009학년도 새내기 과학교사 워크숍'.
  15. 이가은(2006). 경력-초임 유아교사간의 협력적 멘토링 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문구(2006).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멘토링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세나(2004).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경험이 반성적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영미(2006). 멘토링을 통한 2세 영아교사의 프로 그램 수행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화진, 권점례, 상경아, 홍선주 (2007). 초등 초임교사 수업 전문성 발달 지원 자료 개발 연구. 2007 KICETLC 운영. 중간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 장경숙, 한은미(2004). 멘토링을 통한 초임교사 영어수업능력 신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2), 65-96.
  21. 정일환, 강용원(2000). 교원 현직 연수의 발전 방향 탐색. 교육학논총, 21(1), 327-343.
  22. 조영달(2001).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3. 조영종(2001). 경력교사에 의한 초임교사 멘터링 적용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조형숙, 김현주(2005).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2(1), 227-263.
  25. 충청남도교육청(2005). 2005학년도 신규교사의 교단 적응과 수업 능력 을 돕는 멘토링(Mentoring) 제 운영계획.
  26. Allen, D. D., Cobb, J. B., & Danger, S. (2003). Inservice teacher mentoring aspring teachers. Mentoring and Tutoring, 11(2), 177-182. https://doi.org/10.1080/13611260306854
  27. Appleton, K., & Kindt, I. (1999). Why teach primary science? Influences on beginning teachers'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2), 155-168.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769
  28. Bianchini, J. A., Johnston, C. C., Oram, S. Y., & Cavazos, L. M. (2003). Learning to teaching science in contemporary and equitable ways: The successes and struggles of first-year scien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87(3), 419-443. https://doi.org/10.1002/sce.10058
  29. Bianchini, J. A., & Solomon, E. M. (2003). Constructing views of science tied to issues of equity and diversity: A study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53-76. https://doi.org/10.1002/tea.10060
  30. Black, P. & Wi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 Policy & Practice, 5(1), 7-74.
  31. Bradbury, L. U. (2010). Educative Mentoring: Promoting Reform-Based Science Teaching Through Mentoring Relationships.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 Education, Early View, 1-23.
  32. Driver, R. (1995).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Science teaching. In L. P. Steffe, & J. Gale (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385-400). Hillsdale, NJ: Lawrence Eribaum Associates, Inc.
  33. Duit, R., & Treagust, D. F. (1998). Learning in Science - From behaviourism toward social constructivism and beyond. In B. J. Fraser, & K. 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3-25,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Edward,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y: Th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 New York : Routledge.
  35. Feiman-Nemser, S. (1996). Teacher mentoring: A Critical review.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7 060)
  36. Feiman-Nemser, S. (1998). Teachers as teacher educators.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1(1), 63-74. https://doi.org/10.1080/0261976980210107
  37. Hobson, A. J., Ashby, P., Malderez, A., & Tomlinson, P. D. (2009).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 207-216. https://doi.org/10.1016/j.tate.2008.09.001
  38. Hogan, K. Nastasi, B. K. & Pressley, M.(1999). Discourse Patterns and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704_2
  39. Huling-Austin, L. (1990). Teacher induction program and internships. In W. R. Houston(Ed.),Handbook of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40. Koballa, T. R., Kittleson, J., Bradbury, L. U., & Dias, M. J. (2010). Teacher Thinking Associated With Science-Speci c Mentor Preparation. Science Education, Science Teacher Education, Early View, 1-20.
  41. Koerner, M. E. (1992). The cooperating teacher: an ambivalent participant in student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 46-56. https://doi.org/10.1177/002248719204300107
  42. Lanadale, K. (1998). Peer Collaboration Versus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ow Two Methodologies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of in childhood Education. 13(1), 27-32. https://doi.org/10.1080/02568549809594724
  43. Levin, D. M., Hammer, D., & Coffey, J. E. (2009). Novice teachers''attention to student think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2), 142-154. https://doi.org/10.1177/0022487108330245
  44. Mortimer, E. & Scott, P.(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R. Miller, J. Leach & J. Osborne(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126-142). Buck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45. Oh, D. M., Ankers, A. M., Llamas, J. M., Tomyoy, C. (2005). Impact of pre-servic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 urban school teachers.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32(1), 82-97.
  46. Schneider, R. (2008). Mentoring new mentors: Learning to ment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2), 113-116. https://doi.org/10.1007/s10972-007-9088-x
  47. Scott, L. (1995). Successful beginning teachers: A developmental model of support and assessment.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2(4), 93-105.
  48. Smithey, M. W. & Evertson, C. M. (1995). Tracking the mentoring process: a multimethod approach,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9, 33-53. https://doi.org/10.1007/BF00975248
  49. Stanulis, R. N. & Floden, R. E. (2009). Intensive Mentoring as a Way to Help Beginning Teachers Develop Balanced Instruc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2), 112-122. https://doi.org/10.1177/0022487108330553

Cited by

  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vol.31, pp.4,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4.621
  2.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vol.31, pp.8,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45
  3.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nformal Mentoring Experience in Their First Years an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vol.16, pp.1,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2.16.1.75
  4. 중등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전략으로써의 멘토링 적용 사례연구 vol.32, pp.2,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31
  5. 논의기반 탐구 과학 글쓰기 수업 적용에서 나타나는 초임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수업실행 변화 vol.33, pp.7,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29
  6.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Reflective Practices while Mentoring a Class for the Gifted vol.54, pp.4, 2010, https://doi.org/10.15812/ter.54.4.201512.773
  7. A Coevolutional Approach to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Science Classes vol.44, pp.1,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3
  8. A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vol.33, pp.1, 2016,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1.1
  9. 초임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vol.12, pp.2, 2010,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2.183
  10.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 변화 vol.61, pp.5,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7.61.5.251
  11.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이미지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vol.43, pp.3, 2019, https://doi.org/10.21796/jse.2019.43.3.318
  12.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참여에 기초한 초등과학 수업 참여의 잠재집단 분석 및 차이 탐색 vol.39, pp.1, 2010, https://doi.org/10.15267/keses.2020.39.1.145
  13. 초임 과학 교사에 대한 멘토링 효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vol.64, pp.6, 2010, https://doi.org/10.5012/jkcs.2020.64.6.401
  14. 반응적 교수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화학교사의 교수 유형 및 장애 요인 분석 vol.65, pp.4, 2010, https://doi.org/10.5012/jkcs.2021.65.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