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and Change After Conflict Situations on the Movement of the Moon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및 인지갈등 상황 후 변화

  • Received : 2010.11.03
  • Accepted : 2010.11.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of the movement of the moon and to find out how these types change when confronted with cognitive conflict situations. To find out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206 sixth graders were sampled, and to investigate how the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were changed by cognitive conflict situations, and 30 students were systematically resampled by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instruments, including five items that were used for testing the student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and changes after conflict situations. After the pre-test, students were instructed to determine the change of the alternative preconceptions using conflict situations. We found that a majority of students had various kinds of alternative preconceptions formed from their early years of elementary school. The cognitive conflict situations were effective for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movement of the moon. Specifically, in all groups,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 of the early evening crescent moon" changed scientif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유형을 조사하고, 각각의 대안개념에 대하여 인지갈등 상황을 제시한 후 그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안개념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20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개념조사를 실시하여 대안개념을 분석한 후, 문항별 개념유형에 따라 5개 집단으로 의도적으로 나누어 30명을 표집 하였다. 학생들의 대안개념 유형과 인지갈등 상황 후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5문항이 포함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안개념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 학생들의 대부분이 다양한 유형의 대안개념을 갖고 있었다. 갈등상황 후 개념변화에 대해서는 특히, 초승달의 뜨고 지는 시각 및 움직임에 대한 대안개념은 표본 집단 모두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대안개념에 대한 인지갈등 상황 제시 학습이 달의 운동에 대한 학습에 효과 있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1989). 과학개념 형성의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 1-9.
  2. 김기정(1997).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김봉섭(1999).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형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4. 남정철(2002). 달의 운동에 대한 관찰 및 해석의 문제점과 선지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19-531.
  6.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48-363.
  7. 채동현, 최영완(2002). 달의 운동에 대한 역할놀이 학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2), 253-262.
  8. 최숙희(1999).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41-56.
  9. 최여미(1998). 초등학생들의 자연 현상 관찰 경험이 지구의 달의 운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현광호(2003). 중학교 학생과 교사의 태양, 지구, 달의 천체 운동 방향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12. Druyan, S. (1997). Effect of the kinesthetic conceptual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1083-1099.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12)34:10<1083::AID-TEA7>3.0.CO;2-N
  13. Grubelnik, V., Fosnaric, S., & Marhl, M. (2004). System thinking and modeling in the concept of constructivism. INFORMATOLOGIA. 37(3), 259-263.
  14. Hashweh, M. (1986).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5.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scientific conception :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16. Taber, K. S., & Watt, M. (1997). Constructivism and concept learning in chemistry; perspectives from a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58, 10-20. https://doi.org/10.1177/00345237970580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