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SP를 활용한 도형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 Kim, Jin-H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In-Kyung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eongju University)
  • Received : 20100100
  • Accepted : 2010020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if the instruction using GSP to 4th graders for them to explore 'rectangles and making them' have an influence of understanding and retention of the knowledge, generation of the knowledge which is not dealt with during experimental treatment, and if they can reason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it and about what has not been learne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data gained, learner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 that they can retain, generate, reason better than ones in the comparison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 서주식회사.
  2. 구미진(2007). 초등학교 중.고학년 학생들의 공간 추론 능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해름(2000). 계산기의 사용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남희(2002).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GSP 활용. 학교수학, 4(1), p.111-125. 대한수학교 육학회.
  5. 김유경(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3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희(2002). 수학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재환(2007). GSP를 이용한 삼각함수 성질에 관한 이해. 백록논총, 9(1), p.229-248.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8. 김태욱(2005). 초등 수학과 확률적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상이(2009). 중학생들의 개연적 추론 능력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류성림(2007). 수학영재의 GSP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반응 분석. 과학수학교육연구, 30, 115-136.
  11. 류현아(2000). 탐구형 소프트웨어 GSP를 활용한 기하학습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희찬(2004a). 수학교육에서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과 의미. 청람수학교육, 14, 1-16.
  13. 류희찬(2004b). 작도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도구로서의 GSP. 청람수학교육, 14, 17-26.
  14. 문정배(2007). GSP를 이용한 작도방법 연구. 백록논총, 9(1), p.249-268.
  15. 박경옥(2003).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추론 능력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와 그 차이에 관한 분석-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성선(1992). 초등학교 4학년 아동들의 논리적 추론에서의 정교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수정(2009). GSP를 이용한 기하문제 해결에서의 정당화 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8. 박영희(2001). 귀납적 추론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과학교육연구소 논문집, 22, 89-98.
  19. 서동엽(2003). 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8(2), 159-178.
  20. 서동엽(2006). 수학의 형식과 대상에 따른 수학적 추론 지도 수준. 수학교육학연구, 16(2), 95-113.
  21. 성창근(2006).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안숙현(2008). 5, 6, 7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우정호(1999). 수학학습 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4. 유세희(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근주(2006). 탐구형 기하소프트웨어의 활용을 통한 추론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중학교 기하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수연(2009). GSP를 활용한 중학교 학생들의 증명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종희(2003). 수학적 추론의 학습-지도 방안 탐색 및 현장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KRF-2001-030-D00044.
  28. 이춘구(2005). 수학적 추론 능력 신장을 위한 재량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청주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한철(2002). 귀납적 추론 학습방법이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지현(2005). 도형 학습에서의 오류 찾기 활동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임해경(2000a). 초등수학을 위한 GSP 활용 방안. 학교교육에서의 교단선진화 수업 전략, 291-310.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32. 임해경(2000b). GSP를 활용한 활동 수업이 기하학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5, 221-242.
  33. 전형옥(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양적 추론 유형과 표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보나, 안대영, 김순숙(2000). Geomerter's sketchpad(GSP)를 활용한 기하학습. 수학교육워크샵, 2, 125-145.
  35. 정성두(2000). GSP를 활용한 고등학교 이차곡선의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재숙(2002). 전제의 해석 유형이 아동의 수학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최정남(2002). 도형에 관한 탐구학습이 공간추론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채은주(2005). 고등학생의 확률론적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 형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하경미(2001). 탐구형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탐구활동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하종언(2002). 다양한 추론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힘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미진(2002). 소집단 토의 학습이 추론 능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현창석(2005). 초등기하학습에서의 GSP를 활용한 영재교육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홍성관(2000). Geometer's sketchpad(GSP)를 활용한 대칭의 응용에 관한 지도 방안에 관하여. 사대논문집, 39, 131-143.
  44. 홍수영(2006).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홍진곤(2005). 문제해결과 추론의 측면에서 본 이산수학. 청람수학교육, 17, 59-68.
  46. 황의태(2000). 초등 기하학습에서 Geometer's Sketchpad 활용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6학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Balacheff, N. (1991).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al teaching. In C. Keitel, & K. Ruthven (Eds.), Learning from computers: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 pp.131-158. NY: Springer-Verlag.
  48. Crook, C. (1994). Computers and the collaborative experience of learning. London: Routledge.
  49. Kaput, J. J. (1992).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K.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515-556.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50.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The Author.
  5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