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Patients by Caregiver's in Rural Long-term Care Hospital

농촌지역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의 간병인을 통한 구강건강관리 효과

  • Kim, Kyung-W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Yeungnam University) ;
  • Yoon, Hee-J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e-Ryung (Department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ee-Kyung (Department of Dentistry, School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Yeungnam University)
  • 김경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윤희정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김미령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
  • 이희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09.10.29
  • Accepted : 2010.01.10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 identify the effects oral hygiene improvement of the elderly by caregiver in a rural. Methods: It recruited Fifty three elderly patients were recruited who admitted at a long-term hospital located in Mokchon city, Chungchungnam-do province. as the intervention group. Fifty two elderly patients group were selected another one long-term care hospital in Daegu city as control group. study was conducted for seven months. long-term care hospital. for seven months from Dec. 2007 to June 2008. For three months, the caregivers provide tooth brushing and cleaning artificial teeth once a day, to intervention group. once a day for three months. Results: Before the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intervention groups in general characteristics, prevalence rates of diseases, oral sanitary condition. Dental plague sco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001)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fo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were thought to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to develop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who needed long-term care.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되기 위한 우리나라 노인의 실정에 맞는 구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2007년 12월에서 2008년 6월까지 충북 목천에 있는 노인요양병원 한 곳의 노인환자 53명을 관리군으로 선정하여 구강검사 및 구강위생검사를 한 후, 간병인에게 잇솔질 교육과 의치관리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받은 간병인이 1일 1회 구강위생관리를 지도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에 있는 노인요양병원의 노인환자 52명을 선정하여 관리군과 같은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월간의 구강위생관리 실시 후, 구강관리의 효과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강위생관리를 실시 전 대조군과 관리군의 일반적인 특성, 질병의 유병률, 구강상태, 구강위생상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아우식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개월 후의 두 군을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점수는 구강관리 실시 후 관리군에서 19.0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에서는 1.2점 증가하였다(p=0.566). 구강관리 실시 전 치면세균막점수를 통제한 후 그 효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리군과 대조군 간에 구강위생, 치면세균막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구강위생상태의 변화는 대조군에서 치면세균막이 중등도 이상 발견된 비율이 82.7%에서 76.9%로 4.8%P 감소했고 관리군은 84.9%에서 58.5%로 26.4%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 설태가 다량 발견된 비율은 대조군에서 90.4%에서 94.2%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90.6%에서 59.1%로 31.5%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의치 오염도는 대조군에서 중등도 이상인 비율이 75%에서 78.8%로 3.8% 증가했고, 관리군은 73.6%에서 43.4%로 30.2% 감소하여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 연구는 장기요양 노인 환자들에게 3개월 동안 간병인을 통한 구강관리를 시행한 결과, 구강위생상태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요양 노인환자에 대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보건복지부, 2008, 쪽12-14
  2. 원영순. 노인의 구강상태와 식습관 및 건강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3
  3. 최정수, 정세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용역 보고서, 2000;21:1-6
  4. 보건복지부.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 조사 결과 공표. 2007년 6월 19일자 보도자료
  5. Wolff A, Ship JA, Tylenda CA, Fox PC, Baum BJ. Oral mucosal appearance is unchanged in healthy, different-aged pers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5):569-572 https://doi.org/10.1016/0030-4220(91)90364-I
  6. 양순봉.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노인환자의 구강실태 및 치료수요도.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7. 동경도 고령자 연구회. 구강기능 향상 매뉴얼. 2007, 40-48
  8. Hirano H, Watanabe Y, Ishiyama N, Watanabe I, Suzuki T, Nasu I.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masticatory ability of the elderly. J Gerodontology 1995;9:184-190
  9. O'Leary TJ. Periodontal diagnosis. Journal of Periodontal 1967;38:617-624 https://doi.org/10.1902/jop.1967.38.6_part2.617
  10. O'Leary TJ, Drake RB, Naylor JE. The plaque control record. Journal of Periodontal 1972;43:38 https://doi.org/10.1902/jop.1972.43.1.38
  11. 예방치학연구회. 현대 예방치학. 군자출판사, 2008
  12. S. Abe, K. Ishihara, M. Adachi, H. Sasaki, K. Tanaka, K. Okuda. Professional oral care reduces influenza infection in elderl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6, 43, 157-164. https://doi.org/10.1016/j.archger.2005.10.004
  13. 이영호. 도시지역 재가노인들의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대학원, 2009

Cited by

  1.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Care for Long-term Patients in Nursing Facilities on the Streptococcus mutans Population in the Intraoral Region vol.15, pp.8,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062
  2. Awareness and using status o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insurance benefits vol.16, pp.3,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73
  3. Reviews of Literature on Dental Plaque Control and Oral Hygiene Education in Korea vol.17, pp.2,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2.87
  4.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workers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vol.15, pp.2,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