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search on Perceptions of the Wedding Ceremony of Unmarried People for the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Wedding Culture

한국전통혼례문화의 계승을 위한 혼례절차에 대한 미혼남녀의 인식연구

  • Ju, Young-Ae (Dept. of Family & Consumer Science, Sungshin Woman's Univ.)
  •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가족소비자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and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wedding ceremonies. For this purpose, I began a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ed the consciousness about traditional Korean wedding ceremonies among unmarried people. As a result, I discussed the future of Korean wedding culture. Data were analyzed from the sample of 206 unmarried people collected from April 20 to Jun 13, 2009. The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use of the SPSS program an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he $\chi^2$-test. The summary of thes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unmarried people want a special wedding ceremony. They think the appropriate age of marriage is between their 20s and mid-30s. The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s changing, but they think that the meanings behind them will continue. If they married a foreigner, they would want to have a modem wedding ceremony and each of their traditional wedding ceremonies. Second, they have no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traditional wedding culture(85.4%). Some people who have educational experience learned about traditional wedding culture from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Third, most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s were influenced by Korean customs. Most men did not know about traditional Korean wedding procedures. But if they get married, they will follow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s (M=3.35). In the future, we will have to succeed Korean wedding culture, for example, Peau back(幣帛), Ham(函), and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석(2006). 한국전통혼례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7(2), 29-60.
  2. 강정림(2001). 한국사회변동과 혼례문화의 변화: 194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자(2005). 전통생활문화와 혼례의 실제. 한국가정과학회지 8(4), 3-4.
  4. 김미정, 윤혜현(2007). 서울시내 대학생의 통과의례와 음식에 관한 인식조사 1 보-백일 돌과 혼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1), 140-149.
  5. 김소은(2006). 현대혼례에 나타난 전통혼례복의 변천과 실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신연(2009). 한국 전통예절 문화의 원리혼례,제례, 다례를 중심으로. 문명연지 9(2), 165-197.
  7. 김영혜, 이내영(2006). 대학생들의 출산관과 결혼관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모자보건학회학술대회 19, 37.
  8. 김은영 외 8 명(1998). 대학생의 결혼관에 관한 조사연구.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생활과학 31, 90-94.
  9. 김인옥(2008). 예식업종사자의 전통혼례에 대한 의식과 태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6), 1181-1195.
  10. 김준희 (2007). 혼례음식에 대한 인식도 조사와 이용실태 비교: 서울 경기지역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옥(1999). 우리나라 여대생의 배우자 선택 및 결혼관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1), 29-43.
  12. 권병숙(2007). 이재 [사례편람]의 혼례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박동철(2007). 청운마을 혼례문화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범수(1999). 혼례의 근본정신과 혼례의식의 개선. 서울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 25, 57-82.
  15. 박현미(2003). 조선시대 신분에 따른 여자 혼례복연구: 궁중과 민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서수용(2001). 조선 <한>민족 전통예절 심포지움: 한국 혼례제도의 문제점과 그 대안 모색. 동양예학 6, 113-128.
  17. 안혜숙, 주영애, 김인옥(2002). 한국의 가정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선정.
  18. 양은희, 윤형건, 김경자(2003). 조선시대 전통혼례복에 나타난 색채의 특정연구. 디자인학연구 16(3), 231-242.
  19. 윤숙자, 이미영(2002). 서울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7(5), 569-577.
  20. 이광규(1997). 우리나라의 혼례문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2), 203-206.
  21. 이광자(1999) 광복이후 우리나라 혼 . 제례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53-187.
  22. 이길표, 주영애(1994). 조선조 혼인의례 중현구고례에 - 관한 연구. 생활문화연구 8, 217-231.
  23. 이남옥(2006). 전통혼례복을 응용한 한국적 웨딩드레스 개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남희(2005). 한국혼인의 연속과 변화: 전통혼인정신의 현대적 재조명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배용(1999). 개화기 일제시기 결혼관의 변화와 여성의 지위. 한국 근현대사연구 10, 214-245.
  26. 이선영(1993). 혼례행례의 의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윤금, 서병숙(1999). 도시민의 혼례의식에 대한 관련요인분석: 미혼남녀와 혼인적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4), 111-124.
  28. 이지영(1998). 전통사회 혼인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조사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이희재(2002). 혼례의 철학적 의미. 유교사상연구 17, 83-103.
  30. 임귀희(2009). 한국전통혼례의 예학적 탐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장문희, 홍정민(2008). 전통혼례복의 문양을 응용한 혜딩드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2), 97-103.
  32. 정영숙, 권수애, 장혜자(2001). 충북지역 대학생과 그들의 어머니의 혼례관련 의식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65-178.
  33. 조국선(2004). 전통혼례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조천래(2008). 전통혼례의 올바른 이해와 활용.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학 5, 291-326.
  35. 조현호, 유정봉(1993). MARKETING 관점에서 본 우리 여가 연구 -전통혼례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7, 156-166.
  36. 조희선(2008). 조선조 혼인규제와 실제에 관한 소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29-47.
  37. 홍나영, 이은진, 박선희(2001). 20세기 한국의 혼례문화 변천에 관한 연구-서울과 경상도의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11), 141-156.
  38. 황기아, 이복희(2004). 주부의 가치성향과 혼례의식 . 혼례행태와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113.
  39. 황경애(1994). 혼례행례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2005). 세계의 혼인문화. 서울 : 외국어대학교출판부.
  41. 한스타일. http://www.han-style.com.
  42. 통계청. http://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