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Syllabus Based on van Hiele Theory using GSP in Middle School Geometry - Focused on the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반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 8-나 단계의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ise syllabus in which traditional textbooks were rearranged by van Hiele Level theory and van Hiele instruction step 5 was applied to syllabus which used computer software, GSP especially in step 2 for students who studied properties and relations of the figure. Another purpose is to analyze the van Hiele Level distribution and find out how significant improvement syllabus based instruction could mak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lasses using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less than Level 1 in the comparative group bu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have reached Level 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mprovement of van Hiele Level was significant in syllabus based classes compared with traditional classes using textbooks by the Welch-Aspin tests and Chi-squared tests.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정순영.이환철 (2001). 중학교 수학 8-나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두산동아
  2. 김미정.이종희 (1994). van Hiele 이론에 의한 중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3(2). pp.251-265
  3. 김남희.나귀수.박경미.이경화.정영옥.홍진곤 (2006).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4. 노영순 (1999). 학교 현장의 정보화 시설 보급 및 운용과 정보화 교육 정책에 중등학교 수학교사들의 의식 조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 15.
  5. 배종수.박종률.윤행원.유종광.김문환.민기열.박동익.우현철 (2001). 중학교 수학 8-나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탄탄교육
  6. 이중권 (2006). van Hiele의 기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중학교 기하교육 과정 및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기하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17. pp.55-85.
  7.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 보충자료집 중학수학 8단계 교사용 CD-ROM, 서울: (주)두산동아
  9. 최현호 (1990). van Hidle의 기하인지 발달이론과 증명능력에 관한 기초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천규섭 (2006). GSP활용을 통한 학생의 가하사고 수준 발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한규태 (2007).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Van Hiele 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한태식 (1991). 기하교육과 Van Hiele 이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0(3). pp.47-69.
  13. 황혜정 외 5인 (2001).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14. Hoffer. A. (1983). Van Hiele-based reserch. In R. Lesh, & M Landau(Eds.), Acaquisition of mathematics concepts and processes., New York: Academic Press.
  15. Senk, S. L. (1985). HOW WELL DO STUDENTS WRITE GEOMETRY PROOFS?, Mathematics Teacher, pp.378, pp.6, pp.448-456
  16.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Final report of the CDASSG University of Chicago.
  17.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