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Elderly Housing Environment - Countent Analysis of Elderly Housing Environment Literature Issued after 2000 -

노인주거환경 평가 틀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노인주거환경관련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이준민 (상명대학교 대학원,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10.02.25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tandards for evaluating what extant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housing which can cope with the needs of the aging society. This study was consisted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research mainly, and research target literature limits keyword to elderly housing environment and chose connected domestic various literatures.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utdoor only area from design environment element accessibility, and safety emphasized from equipment element, health of community territory was expose from design'environment element that supportiveness is emphasized from equipment element. Second, in living room safety emphasized from design' environment element in bedroom and bathroom of indoor individuation space, vestibule, balcony supportiveness, health was expose that is emphasized kitchen and mess. Also, was expose that supportiveness is emphasized from equipment element of all individuation spaces. Third, was expose that design environment element in corridor that is indoor official business space, stair, lobby, elevator and safety from equipment element and supportiveness are emphasized.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정. 김미희. 김대년. 김영주. 박남희. 최령(2005),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기준 개발 및 보급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2. 김민수. 이유진. 이선민. 이성미. 이연숙(2006), 노인주거환경의 개념과 유형화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8(1), 224-228.
  3. 김하영(2004),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실내환경 실태조사 및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 예술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정. 조영행(2006),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른 노인 전문요양시설의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245-248.
  5. 김현진. 이경락. 안옥희(2000), 노인주택의 평가항목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1(3), 75-86.
  6. 유경두(2006), 노인의 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인제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성훈.최상헌(2009), 환경심리행태적 측면에서 살펴 본 노인요양시설의 환경평가 및 제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1(2), 125-130.
  8. 이관용(2003), 미국의 노인환경, ANC.
  9. 이수진. 권현주. 이연숙. 민병아(2007), Aging in Place를 지원해주는 유니버설디자인 욕실설비 및 제품 특성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2), 125-134.
  10. 이연숙(2003), 한국인의 삶과 미래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11. 이은진. 최상헌(2006), 사용자 유형분석을 통한 종합병원 공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5(2), 13-20.
  12. 이정화. 이연숙. 이수진(2007), 고령화미래 사회통합방안으로서의 기존 주거지역내 노인공동사용주택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4), 63-74.
  13. 이희승(2004), 농촌지역 노인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목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효창. 하미경(2007),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5), 55-62.
  15. 임혜정(2008), 세대간 통합을 위한 복합형 노인주거환경 계획안,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령. 변혜령(2007), 농어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니버설 디자인 주택 매뉴얼 개발, 농림부.
  17. 하미경. 박남희(2001),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공공 시설에서의 편의시설 현황조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6), 13-20.
  18. 홍광호(2008), 노인주거시설 외부공간의 유형별 평가 및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배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 홍이경(2004), 한국형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실내디자인 선호경향과 지침연구, 경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Diana K. Harris (1998), Dictionary of Gerontology, Greenwood press.
  21. Houben, P. P. J. (2001), Changing Housing for Elderly People and Co-ordination Issues in Europe. Housing Studies, 16(5), 651-673. https://doi.org/10.1080/02673030120080107
  22. Roberta L. Null (1988), A Universal Kitchen Design for the low vision Elderly ; Research Applied in Practice. Journal of Interior Design, 14(2), 45-50. https://doi.org/10.1111/j.1939-1668.1988.tb00128.x

Cited by

  1. A Study on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the Korean Apartment Housing Units - Focused on Modelhouses in Busan - vol.26, pp.4,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4.045
  2. Post-occupancy evaluation of urban public housing in Korea: Focus on experience of elderly females in the ageing society pp.1423-0070, 2018, https://doi.org/10.1177/1420326X18782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