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esthetic Approach of Digital Images - Focus on Realism -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 - 사실주의를 중심으로 -

  • 윤영두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
  • 최은영 (서울디지털대학교 디지털영상학부)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Argument on the postmodernism of philosophy and history, epic and effect, and culture and art is becoming more ambiguous in scope due to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Digital technology makes to change of aesthetic approach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art and culture including medium art. Analysis of Digital images is changed from presence of images to feature analysis of images which is made by digital technology, and raise the question of how to analyze the images of reproducing digital technology focused on realism. Digital image, focused on hyper reality, should be approached not by film aesthetic approach but by shot unit. Due to emphasizes image reality reproduction by frame unit and not the short unit of the narrative approach, the artistic approach should differ from previous realism practice. Particularly, when considering movies which is focused on illusion, the realistic approach should be realized not in the of realistic approach in narrative aspect but in the aspect of realistic approach in painting aspect.

철학과 사상, 서사와 효과, 문화와 예술 영역으로 양분되어 논의되었던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 영역이 모호해졌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문화예술전반에 걸쳐 매체예술을 비롯하여 미학적 접근에 대하여도 변화를 가져왔다.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해석은 기존의 이미지의 재현논리의 중심에서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내는 이미지에 대한 특징 분석 및 해석과 함께 디지털 이미지들을 어떻게 수용해야하는가의 문제로 변화하고 있다. 하이퍼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기존의 영화의 미학적 접근방식이 아닌 쇼트 단위로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이미지는 프레임 단위 안에서 이미지의 현실 재현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총체적인 내러티브상의 영화 이미지의 미학적 특성에 대한 접근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한다. CGI가 만들어내는 디지털 이미지는 프레임단위에서 재현되는 핍진성의 척도와 시뮬레이션, 극사실주의 개념으로써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환영성이 강조되는 영화에서는 내러티브상의 사실주의적 접근보다는 회화적 차원에서의 현실 재현적 차원으로의 미학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배영달, 예술의 음모, 백의 출판사, 2000.
  2. R. Schnell, Kulur der Gegenwart, Metzler, 2000
  3. Scott Bukatman, The Artificial Infinite: on Special Effects and The Sublim, Bay Press, 1995.
  4. 앤드류 달리,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5. 이종한, “실사 영화와 3D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디지털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회, Vol6, No4, p.32, 2006.
  6. 김상환, 매체의 철학, 나남, 1998.
  7.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시각과언어, 1998,
  8. 크리스티안 될커, 미디어에서 리얼리티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9. 문재철,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연구 ;테크놀로지의 미학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No.7, 2003.
  10. 진중권, 이매진, 씨네북스, 2008.
  11. 진중권, 까간의 미학, 새길, 1998.
  12. 문재철,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연구;테크놀로지의 미학적 효과를 중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No.7, 2003.
  13. 모은영,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 라이브 액션 영화와의 상호작용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석혜정, “영화 비쥬얼 이펙트의 내러티브에 의한 분류체계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No.13, p.238, 2008.
  15. 자크 오몽,이마주, 동문선,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