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과시적 소비 특성

  • Lee, Ji-Hyoun (Dept. of Clothing &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Yang, Sook-Hi (Dept. of Clothing &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이지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s are classified with 2 parts as follows as: 1. The motive of conspicuous consumption, 2.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motive of conspicuous consumption is 1) conspicuous consumption, 2) conformity consumption, 3) compensatory consumption.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is 1) veblen effect, 2) bandwagon effect, 3) snob effect. The veblen effect is caused either by the belief that higher price means higher quality, or by the desire for conspicuous consumption to be seen as buying an expensive, prestige item. The bandwagon effect is people tend to follow the crowd without examining the merits of a particular thing. The snob effect refers to the desire to own unusual, expensive or unique goods. The conspicuous consumption has produced conflicting results of the homogeneous imitation and the different scarcity. Consequently conspicuous consumption characteristic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refers to the conformable imitation and the different scarcity. The conformable imitation is pursuit of first lady look and imitation. The different scarcity refers to the desire to own exclusive or unique goods. The unique value is pursuit of limited edition and art mode.

Keywords

References

  1. 간호섭 (2008).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레보레이션 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혜원 (1995). 의상사회심리. 서울: 교문사
  3. 김기훈 (2006년 2월 12일). "짝퉁산업 524兆시장 '호황'." 조선일보.
  4. 김민정, 김성숙 (2005). 소비문화와 트랜드. 서울: 태일사.
  5. 김선미 (2009년 1월 15일). "[단독]명품의 자신감." 동아일보
  6. 김영화 (2008년 11월 18일). "세계 각국 영부인 패 션은…." 헤럴드 경제.
  7. 김지연 (2009).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자 유형과 소비특성: 가치 소비로서의 명품 소비 심리." 연 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정자 (2006). 로빈슨 크루소의 사치. 서울: 기파랑.
  9. 박효경 (2006). "소비자의 명품 태도, 소비자-명품 브 랜드 관계, 명품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패션 명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유림 (2009). "한국인의 불인정경험과 과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성택 (2007년 5월 21일). "3명 중 1명 '짝퉁 구입 경험 있다'." 한경비즈니스.
  12. 유송은, 이은영, 황선진 (1996). 복식 문화. 서울: 교문사.
  13. 이금실 (2002). "한국사회의 과시적 소비 성향과 영향요인." 사회과학연구 11권 1호.
  14. 이선희 (2007). "대학생들의 복제 상품 이용 확산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승신, 김시월 (2004). 소비자, 그리고 소비문화. 서울: 신정
  16. 전세화 (2009년 3월 3일). "[명품 트렌드] 불황 속 명품 보수냐 혁신이냐." 주간 한국.
  17. 차영란, 리대룡 (2003). "부유층의 심리적 특성과 소비행태의 관계 분석." 광고연구 59권.
  18. 최순화 (2002년 9월 24일). "소비시장의 양면성."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19. 황정순 (2008). "명품소비욕망에 따른 명품과 위조품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Danziger, Pamela N. (2005). Why People Buy Things They Don't Need( 사람들은 왜 소비하는가). 최 경남 역. 서울: 거름.
  21. Mooij, Marieke de (2007). Consumer Behavior and Culture( 소비자행동과 문화). 김유경, 이상훈, 김 병희 역. 파주: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