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Use of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n Contemporary Spaces: Focused on the Article Contents of Professional Design Magazines

현대공간의 전통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태도: 전문 디자인잡지의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 Lee, Min-Ah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이민아 (군산대학교 주거 및 실내계획학과)
  • Received : 2010.05.02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us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n contemporary space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rticle contents of two design magazines, from their issues of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9, for a total of 87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t motives for applying traditional elements to current living spaces were individual tastes, preference for a secluded life, and the users' childhood memories.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traditional element was traditional structure. Others were traditional spatial compositions and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The two main purposes for renovating a space or constructing a building were to preserve traditional ambience or to add convenience and practical use to it. Third,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dvantages of traditional elements were their environment-friendly characteristics, such as connecting to nature and using natural materials. Fourth, the users preferred, in order, Ma-dang, natural environments, doors/windows of various types and multiple functions, Toet-maru, Dae-cheong, and Nu-maru.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김경재(1999).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회지, 21, 3-9.
  2. 김국선, 오옥재, 이은민, 이연숙(2003). 현대 실내건축디자인의 한국성 구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5), 98-103.
  3. 신미옥, 김남효(2008). 현대 실내공간에 반영된 전통성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3), 121-124.
  4. 신영훈(1983). 한국의 살림집. 서울: 열화당.
  5. 오세옥, 김형우(2007). 전통성을 지닌 현대주거건축의 공간 특성과 재료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1), 21-24.
  6. 오혜경, 이지현(2007). 레스토랑에 나타난 실내공간과 음식 관련요소의 한국성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2), 192-200.
  7. 유영희(2005). 실내건축공간에 한국성 적용을 위한 디자인개념 추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5), 44-51.
  8. 이숙경, 최상헌(2006). 한국 현대 실내디자인에서 한국성 표현방법의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1), 39-46.
  9. 이완건, 정례화(2006). 스키마에 의한 현대주택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4), 60-67.
  10. 전경희, 남경숙(2005).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전통의장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7(1), 116-121.
  11. http://happy.design.co.kr 행복이 가득한 집(2000년 1월호∼2009년 12월호)
  12. http://likms.assembly.go.kr/law/jsp/main.jsp 법률지식 정보시스템.
  13. http://www.casa.co.kr/company/n_living_list.jsp 까사리빙(2000년 4월호∼2009년 12월호)

Cited by

  1. 『애니메이툰』의 기사 분석 연구: 'Animatoon Report' 항목의 유형적 특성 및 통사적 경향을 중심으로 vol.44, pp.None, 2010, https://doi.org/10.7230/koscas.2016.44.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