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Evaluation of ASTER DEM, SRTM D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ASTER DEM과 SRTM DEM의 구축정확도 평가

  • 강경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창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손홍규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원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0.01.30
  • Accepted : 2010.02.23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the accuracy of ASTER DEM and SRTM DEM covering 99% of the earth surface using large-scale Digital Topographic Map in mountainous area(Sokcho), mixed area(Jinan, mountainous area and even land area) and even land area(Anyang). We made DEM using contour lines of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of study area and also acquired ASTER DEM and SRTM DEM of their corresponding area. In order to verify accuracy of DEM, this study compared ASTER DEM and SRTM DEM data using 15m resolution DEM generated from contour lines of Digital Topographic Map as basis for each study area. To evaluate the accuracy of ASTER and SRTM DEM data, statistical such as RMSE and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histogram and scatter plot were drawn.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both ASTER DEM and SRTM DEM have high accuracy but in aspects of future availability, ASTER DEM covering larger areas bas relatively more potential than SRTM data.

본 논문에서는 지구표면의 99% 지역의 3차원 DEM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ASTER DEM 과 SRTM DEM의 실용가능성과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등고선을 통해 DEM을 생성하여 ASTER DEM과 SRTM DEM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이를 위하여 한반도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명지(안양), 산악지역과 평지가 적절하게 분포하고 있는 지역(진안), 산악지역(속초)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1:5000 수치지형도를 통해 DEM을 생성하고 통일한 지역의 ASTER DEM과 SRTM DEM을 취득하여 상호 중첩비교가 용이하도록 수치지형도 DEM과 동일한 15m의 해상도로 변환하였다. DEM의 정확도툴 평가하기 위해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을 기반으로 구축된 DEM을 기준으로 ASTER DEM과 SRTM DEM의 RMSE, 상관계수, scatter plot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수치지형도 DEM과 ASTER DEM, SRTM DEM 모두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나, 상대적으로 SRTM DEM보다 더 넓은 범위의 자료를 제공하는 ASTER DEM이 높은 정확도를 보여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감래, 강준묵, 박운용, 양인태, 이재기 (2003), 측량용어사전, 건설교통부/국토지리정보원, pp.94.
  2. 김진우, 허준, 손홍규 (2006), SRTM과 NED를 이용한 식생수고 및 수령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6, No. 1, pp. 203-209.
  3. 황철수, 구자용 (1999), 국가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DEM생성,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Vol 34; No 3, pp. 319-336.
  4. ASTER GDEM(Global Digital Elevation Mode)(2009), Earth Remote Sensing Data Analysis Center (ERSDAC), http://www.ersdac.or.Jp/GDEM/E/2.html
  5. Global Land Cover Facility(GLCF) (2004), Global Land Cover Facility, University of Maryland, http://glcf .umi-acs.umd.edu/data/srtm
  6. Grohman, G., Kroenung, G., Strebeck, J. (2006), Filling SRTM Voids : The Delta Surface Fill Method,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PE&RS, Vol. 72, No. 3, pp. 213-216.
  7. Horn, B. K. P. (1981), Hill Shading and the Reflectance Map, Proceedings of the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69, No. 1, pp. 14-47 https://doi.org/10.1109/PROC.1981.11918
  8. Nikolakopoulos, K. G., Chrysoulakis, N. (2006a), Updating the 1:50.000 topographic maps using ASTER and SRTM DEM: the case of Athens, Greece, Proceedings of SPIE,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Vol. 6366, pp. 606-636.
  9. Nikolakopoulos, K. G., Kamaiatakis, E. K. and Quysoulakis, N. (2006b), SRTM vs ASTER elevation products, Comparison for two region in Crete, Gree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Taylor & Francis, Vol. 27, No. 21, pp. 4819-838. https://doi.org/10.1080/01431160600835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