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Between Using Rate of Information Media on Diversion by Traffic Condition

소통상황에 따른 정보매체별 우회이용률 분석

  • 최윤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고한검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Received : 2009.10.12
  • Accepted : 2010.01.22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attern of behavior of drivers which result from the provision of traffic information, there have been few detailed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message, method for message expression, timing of provision, point of provision, media for provision, changes by traffic condition, etc.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by analyzing how the patterns of information utilization change depending on the traffic condition and reclassifying such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adopted the traffic condition, using rate of information media,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label as the basis for information media classification, and categorized them into passive utilization media, ac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in order to ensure the statistical reasonability. The categorized using rate of information media and traffic condi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ravel speed in the case of passive utilization media during both consecutive holidays(Korea's traditional Thanksgiving day) and weekends, b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The rate of decision to take a detour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was high at the condition of congestion or slow during both consecutive holidays and weekends, but the rate of decision to take a detour through passive utilization media was high in a smooth traffic. In other words, if the traffic condition worsens, using rate of passive utilization media would be low while the diversion rate would be high which uses the active utilization media and past experience. Therefore, it should be established to suit the traffic condition and media characteristics for strategies of traffic distribution through drivers' diversion behavior on weekends and consecutive holidays.

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운전자의 반응 행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메시지의 구성과 표현방법, 제공시기, 제공지점, 제공매체, 소통상황에 따른 변화 등 세부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통상황에 따라 정보매체의 이용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고, 매체의 특성에 따라 이를 재분류하여 각 소통상황에 따른 정보매체별 우회이용률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정보매체의 분류기준으로 소통상황과 정보매체 이용률간의 상관계수 부호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타당성을 갖도록 수동이용매체, 능동이용매체, 과거경험으로 군집하였다. 군집한 매체별 이용률과 소통상황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동이용매체의 경우 통행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능동이용매체와 과거경험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주말과 추석연휴 모두 동일하였다. 정체와 서행상황에서는 과거경험에 의한 우회결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원활 상황에서는 수동이용매체를 이용한 우회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혼잡이 심화될수록 수동이용매체의 이용률은 감소되는 반면, 능동이용매체와 과거경험을 이용하는 우회율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주말과 추석연휴 시 우회를 통한 교통량 분산전략을 수립할 경우, 소통상황과 매체특성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윤혁.최기주.고한검(2009), 도로 소통상황과 우회율과의 상관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57-71.
  2. 최윤혁.최기주.오승훈(2007), 운전자 경로전환 의사결정에 작용하는 정보매체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7권 6D호.
  3. 최기주.최윤혁.오승훈(2006), IPA를 이용한 VMS 서비스 평가와 정보제공 개선전략, 대한토목학회지, 제26권 5D호, 대한토목학회.
  4. 김혜란.전경수.박창호(2004), 관측 교통정보를 이용한 통행중 경로전환행태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37-144.
  5. 박은미(2004), VMS의 과도반응과 통행집중 문제를 고려한 예측적인 운영전략, 대한교통학회지, 제22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07-115.
  6. 조혜진.김강수(2003), Effect of uncertain information on drivers' decision making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77-90.
  7. Youngbin Yim, Asad J. Khattak, and Jeremy Raw(2002), Traveler response to new dynamic information sources: analyzing corridor and area-wide behavioral survey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1st Annual meeting.
  8. Khattak, A. J., Koppelman, F. S., and Schpfer, J. L.(1993), Stated preferences for investigating commuter's diversion propensity,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 20.
  9. 송지준(2008),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0. 강주희(2009),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출판사.
  11. 강병서(2009), SPSS 17.0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