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Impact Speed Estimation Model using Bicycle Throw Distances

자전거 전도거리를 이용한 충돌속도 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06.12
  • Accepted : 2010.02.07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impact speed estimation practice used in the car-bicycle accident analysis practice in Korea was mainly dependent on foreign study results which were tested with limited speed ranges and vehicle types, but the characteristics of roadway, human body, and vehicle performance were quite different. This study developed an impact speed estimation model using the car-bicycle accident field data. For thi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mpact speed and bicycle throw distance collected from 23 real accident data, and statistical test was also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induced model, the impact speeds derived from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the true impact speeds estimated from skid marks of two accident ca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wo speeds were very close to each other. It is believed that the model could be included in the car-bicycle accident analysis practice.

국내에서 차대 자전거사고 분석시 사용되는 충돌속도 예측모형은 외국의 연구결과를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제한된 실험조건 하에서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도출되었고, 국내 도로 환경 및 자동차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차대자전거 사고시 충돌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돌속도와 자전거 전도거리가 정확하게 확인된 23건의 사고 자료를 수집하여 자전거 전도거리와 충돌속도의 상관관계를 선형 회귀모형으로 도출하고 모형의 변수들에 대한 통계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의 실제적인 검증을 위하여 2건의 실제 사고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제시된 모형이 실제 충돌속도와 약 3%이내의 오차를 갖는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향후 국내 차대자전거사고를 재현 및 분석하는 과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2008), "교통사고 통계분석", 도로교통공단.
  2.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2007), "교통사고 통계분석", 도로교통공단.
  3. 교통안전학교(2002), "교통사고 재현매뉴얼", 도로교통공단.
  4. 교통안전학교(2002), "교통사고 조사매뉴얼", 도로교통공단.
  5. Eubanks, J. and W. R. Haight(1990), "Trajectory Analysis for Collision Bicycles and Automobiles", SAE Paper No. 900368.
  6. 林佯(1992), "自動車事故鑑定工學".
  7. 손영태.김정현.오영태.김홍상.박우신(2002), "자전거 교통류의 기본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9-26.
  8. 황정훈.김갑수(2005), "자전거 주행환경 개선방안의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203-213.
  9. 한원섭.황상호.현철승.이호원.오영태.이철기(2008), "국내 교통여건을 고려한 자전거 전용신호 도입방안 연구", 한국ITS학회지 제7권 제5호, pp.77-89.
  10. 류태선(2004), "사고자료를 이용한 보행자사고의 재현 및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 논문.
  11. Motte, M and H. Tove(2008), "Cyclists' Perception of Risk in Roundabou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40 No. 3, pp.1055-1062. https://doi.org/10.1016/j.aap.2007.10.013
  12. Delmelle, E. and J. Thill (2008), "Urban Bicyclists:Spatial Analysis of Adult and Youth Traffic Hazard Intensity", TRB, TRR 2074, pp.31-39.
  13. Carter, D., W. Hunter, C. Zegeer, R. Stewart, and H. Huang (2007), "Bicyclist Intersection Safety Index", TRB, TRR 2031, pp.18-24.
  14. Zolnik, E., and E. Cromley(2007), "Poisson Multilevel Methodology of Bicycle Levels of Service for Road Networks", TRB, TRR 2031, pp.1-8.
  15. Neter, J., W. Wasserman, and M. Kutner (1990), "Applied Linear Statistical Models, 3rd edition, Ir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