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ualization of u-Bike Services and its Priorities

u-Bike 서비스의 개념 및 적용 우선순위 연구

  • Received : 2010.01.08
  • Accepted : 2010.06.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Bicyc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friendly transport mode which can cope with global warming. ICTs(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bicycles became a dominant factor for success to the spread of bicycles to public as we experienced Public Bike System. In this paper, conceptual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u-Bike services are fulfilled and its priority was examined using AHP method. Group capabilities technique of ECII, a computer fool of AHP was invited to minimize bias on appraisal. 12 u-Bike services were conceptualized. U-service with highest adoptability was 'bike and ride' service which can link bicycle to public transportation. 'Prevention system from abandonment and theft' and 'public bike system' similar to Velib system in Paris are also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services in u-City.

그 동안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수단분담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다른 수단들과의 경쟁력 약화로 인하여 그 효과가 부진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발달된 정보통신기술(ICTs)과 자전거를 결합하여 친환경적이면서 편리함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를 정립함으로써 여러 가지 불편과 위험 요인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환경과 ICTs가 결합된 소위 u-City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일환으로서의 u-Bike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들의 적용 우선순위를 평가 및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u-Bike 서비스를 12개로 설정하고 이를 개념화하였으며, 계층분석기법(AHP) 등을 활용하여 서비스개발 및 적용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자전거와 대중교통연계 서비스(bike and ride service)가 최우선적으로 적용 가능한 서비스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방치 및 도난예방서비스, 공공자전거시스템, 주차관리서비스, 그리고 자전거등록관리서비스의 순으로 적용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국도상 자전거도로 설치기본계획 수립연구.
  2. 김성후.박창호.김청택(2006), 유비쿼터스 서비스 평가를 위한 u-서비스 체험성의 분석.
  3. 김현곤.오정연(2005),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현황 및 수요조사, 한국전산원.
  4. 김형철.이재영(2009), "공공자전거시스템(Public Bike System)특성 분석 및 구축전략",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과 과제-자전거정책세미나 자료집, 2009년 9월 3일-4일, 대전발전연구원.국토연구원, pp.239-265.
  5. 박철.유재현(2006), "유비쿼터스 특성이 u-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u 캠퍼스환경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 Review, 제8권, 제1호, pp.81∼99.
  6. 배상훈.김시곤(2006), "유비쿼터스시대의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u-transportation의 비전", '유비쿼터스기반 교통체계의 비전과 전망' 자료집, 한국교통연구원, 2006년 3월 3일.
  7. 오철(2006), "u-transportation의 비전과 추진전략", '유비쿼터스기반 교통체계의 비전과 전망' 자료집, 한국교통연구원, 2006년 3월 3일.
  8. 이상호.임윤택(2008), "유시티 계획특성 분석",'국토계획' 제43권 제5호, pp.179∼188.
  9. 이재영(2006), "대도시 자전거이용환경개선을 위한 시범사업추진 및 설계개선방안", 교통, 2006년 9월호.
  10. 이재영(2009), "녹색교통활성화를 위한 교통물류기술개발 방향-자전거교통기술을 중심으로-", 지속가능 교통물류시스템 기술개발 워크샵 자료집,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9년 6월 3일.
  11. 이재영(2008), "Bike zone 구상과 추진전략", 제4차 아시아지역 EST포럼 정책세미나 자료집, 2008년 12월 19일.
  12. 이재영(2008), "자전거교통과 설계방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워크샵 자료집, 2008년 9월 29일.
  13. 이재영 외(2009), 자전거 도난 및 방치예방을 위한 자전거등록제도 시행모형 연구, 국토연구원.
  14. 이종근(2006), u-City 구현과정에서의 u-서비스 유형화와 우선순위 산정,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우수.조병선.조향숙. 박웅희(2006),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동향, 한국전자부품연구원.
  16. 장재호.엄정섭(2008), "수요,공급자를 통합한 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모형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1권 제2호, 한국지리정보학회, pp.132∼147.
  17. 정우수.조병선(2007), "가중치모형을 이용한 u-City 유망서비스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17권, 국토연구원, pp.193∼214.
  18. 정보통신부(2005), u-City 구현전략.
  19. 지경용.김문구.박종현(2005), u-Health 비즈니스 전개를 위한 국내외 시장환경 분석.
  20. 조병선.정우수.조향숙(2006),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1권 제4호, pp.152∼162.
  21. 한국전산원(2005), 한국형 u-City 모델 제안.
  22. 한국정보사회진흥원(2006), u-City 인프라, 기술, 서비스 모델의 표준화 방안.
  23. Cho, Y. H.(200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HP Method for Decision-Modeling of ITS policy", Journal of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Vol. 9, No. 2, pp.21∼33.
  24. Koike, H.(2009), "Recent Issues on Bicycle Policies in Japan", Paper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Bicycle Policies, Sep. 3-4 2009, Daejeon, Korea.
  25. Lee, S., J. H. Han, Y. T. Leem and T. Yigitcanlar(2008), "Towards Ubiquitous City: Concept, Planning and Experience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Yigitcanlar T., K. Velibeyoglu and S. Baum (eds.) Knowledge- Based Urban Development: Planning and Applications in the Information Era, IGI Global, Hershey PA, pp.148∼169.
  26. Yigitcanlar, T. and J. H. Han(2009), "Managing Ubiquitous Eco Cities: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Networks, Technology Convergence and Intelligent Urban Management Systems", Research Report for U-Eco City Concepts and Strategy,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27. Wang, L., H. Wu andH. Song(2002), "A Framework of Integrating Digital City and Eco City", School of Business, Hubei University, Wuha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