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 개발

  • 강경우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이겨라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09.09.09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South Korea is seeking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 the increase of bicycle use. However many people feel that using a bicycle is inconvenient. Therefore, we developed bicycle level of service model from the user's perspective so that the existing bicycle roads can be evaluated and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bicycle level of service (LOS) model by considering user's satisfaction and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bicycle LOS. Bicycle LOS criteria is estimated by applying an ordered probit model, which is suitable for research relating to choice. In addition, we determine the bicycle LOS using three-level(A-C) LOS structure from the user position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level that people can distinguish clearly. The results show that the bicycle LOS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bicycle road width. Other factors are involved as well, including bicycle road type, the number of access and egress point on the bicycle road corridor, pedestrian volume, and frequency of meetings.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심각한 교통 혼잡문제와 도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이용자들은 여전히 자전거를 이용하는데 불편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 모형을 개발하여 기존의 가전거도로 및 시설을 이용자 입장에서 평가하고 개선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전거 이용자들이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만족도로 자전거도로의 서비스수준을 정의하였다. 분석모형은 순차적 의미를 주는 선택, 선호와 관련된 분석에 적합한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자전거도로의 서비스수준은 실제 이용자들이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인 3개(A~C) 범위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도로 서비스수준은 자전거도로 폭, 자전거도로축의 진 출입로 수, 자전거도로 유형, 보행자교통량, 대면횟수 순으로 정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주미영(2000), "프로빗과 순차적 프로빗 분석에 대한 이해와 적용", 정부학연구, 제6권, 제1호,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pp.24∼48.
  2. 이겨라․노종기․강경우(2009),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 수준 모형 개발", 한국ITS학회 논문지, 제8권 제22호, 한국ITS학회, pp.108∼117.
  3. 강경우․백병성(1998), "순서형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속도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 16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93∼100.
  4. 원제무․성낙문․오주택․하오근(1998),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사고심각도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4호, 대한교통학회, pp.47∼55.
  5. Harkey, David L.(1998), Donald W. Reinfurt and Matthew Knuiman, "Development Of The Bicycle Compatibility Index",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636,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3∼20.
  6. Bruce W. Landis, Venkat R. Vattikuti, Russell M. Ottemberg(2003), "Intersection level of service for the bicycle through movemen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828,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01∼106.
  7. Theodore A. Petritsch, Bruce W. Landis, Herman F. Huang, Peyton S. McLeod (2007), "Bicycle Level of Service for Arteria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34∼32.
  8. Soren Underlien Jensen(2007), "Pedestrian and Bicycle Level of Service on Roadway Seg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43-51, pp.34∼42.
  9. 2002 Quality/Level of Service Handbook (2002), Florid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fice of the State Transportation Planner, pp.17∼19.
  10. Landis, B.W., Vattikuti, V., and Brannick, M.(1997), Real-Time Human Perceptions: Toward a Bicyclist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578,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19∼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