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of Two-Lane Rural Roadways

지방부 2차로 도로의 사고예측계수 개발 및 검증

  • 김응철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최은진 (인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동민 (한국교통연구원 첨단교통운영연구센터) ;
  • 김도훈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안전연구본부)
  • Received : 2010.02.28
  • Accepted : 2010.04.0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imed to develop accident modification factor(AMF) for rural two-lane roadway segments. Accident Modification Factor is a coefficient to assess roadway safety a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homogeneous roadway. It estimates accident frequency of roadway segments with developed base model and exposure. We found on items of such factors as crosswalk, driveway density, topography characteristic, land use and median through statistical models and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we used statistical model methods and analyses of applicability and expert judgement method were practiced to validate it. Although expert judgement for land use item was questionable, most items were rated acceptabl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crash frequencies of IHSDM and KHSEM were most similar with actual. However, accident distribution of KHSEM was more proper than IHSDM. Also overall estimated values of RSDS were found to be overestimated.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2차로 도로구간에 대한 사고예측계수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사고예측계수(AMF)는 설계 안전성 평가시 도로구간의 기하구조적요인, 운영적 요인 등 개별 요소가 사고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계수이다. 개발한 지방부 2차로 도로의 사고예측계수항목은 기존문헌과 모형을 통해 횡단보도와 진출입구의 밀도, 지형(산악지), 토지이용도(주거), 중앙분리대의 설치여부로 결정되었다. 사고예측계수의 개발은 모형을 이용한 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산출된 값에 대해서는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항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AMF의 예측력, 국내도로 특성 반영도 등 두 가지 측면에서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국외의 AMF를 적용했을 시와 비교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전문가를 통한 적정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개발된 계수의 항목이 전반적으로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토지이용도의 주거 항목의 값에 대하여 과대 예측하는 결과를 유발 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국외의 사고예측계수 및 실제사고와의 비교분석결과는 전체 예측빈도로 판단한 결과, 미국에서 개발 중인 IHSDM과 본 연구의 결과가 실제에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텍사스 RSDS의 값은 전반적으로 결과를 과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사고발생위험도가 높은 도로구간에 대한 예측은 본 연구의 계수 값을 적용하는 경우 반영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onneson J. and Zimmerman K.(2006), "Procedure For Using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In The Highway Design Process", Report No. FHWA-PL 099-024,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2. David L. et al (2004), "Crash reduction factor for traffic engineering and ITS improvements", NCHRP project 17-2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3. Harwood D. et al (2000), "Prediction of the Expected Safety Performance of Rural Two- Lane Highways." Report No, RHWA-RD- 99-207,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4. Kay Fitzpatrick (2008), "Accident Modification Factors For Medians On Freeways And Multi lane Rural Highway In Texa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5. Miaou S. P. et al (1996), "Measuring the Goodness of Fi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Report No. FHWA-RD-96-040,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6. Ogden K. W. (1995), "Safer Roads : A Guide to Road Safety Engineering", Avebury Technical, pp.157∼181.
  7.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2005), "Roadway Safety Design Synthesis".
  8. Warren H. et al (2004), "Development of a Highway Safety Manual", NCHRP 17-1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 Zeeger C. et al (1991), "Cost-Effective Geometric Improvement for Safety Upgrading of Horizontal Curves" Report No. FHWA-RD-90-021.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0. 김응철․이동민․최은진․김도훈(2009), "지방부 교차로의 도로설계 안전성 판단 알고리즘 구축을 위한 AMF 개발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91∼102.
  11. 김응철․이동민․최은진․김도훈(2009), "IHSDM의 국내도로 적용성 분석 및 도로설계 안전성 평가 시스템의 사용자 요구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55∼166.
  12. 국토해양부, 도로의 구조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