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edestrian's Psychological Estimation by Control of Main Design Factors in the Public Open Space (Focused on the Public Open Space of Centum and Seomyeon in Pusan)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제어에 의한 보행자의 심리적 평가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10.18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a basic data for setting design standards and proposing improvement for public open space by analysis one which is the factor that quite influences public open space by factor analysis. First, Extract main design factors by survey and field investigation of the Public Open Space of Centum and Seomyeon in Pusan. After the extraction, Control and simulation of main design factors which selected by survey for making better improved public open space and resolving problems of it. Based on simulation data, the five-factors drawed by psychological estimation and factor analysis are Accessibility, Intimacy, Openness, Amenity, Convenience. By use of 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implemen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ive-factors and user's satisfaction in the public open space. Therefore the it which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in the public open space most was Accessibility. So, the public open space must be designed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Intimacy, Openness, Amenity, Convenience which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were reviewed primary.

도시의 쾌적한 공간조성을 통하여 도시공간의 질과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공개공지는 건축법,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현행 제도는 공개공지 조성에 있어 필요한 최소한의 규정에 지나치지 않아 공개공지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공공성의결여, 설치 및 유지 관리상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었고 이용자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여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높이는 공개공지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자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어떤 인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방안 제시 및 향후 공개공지 설치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공개공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개선된 공개공지 조성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별된 주요 설계요소를 제어 시뮬레이션하고. 심리적 평가와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의성, 친근성, 쾌적성, 접근성, 개방성의 5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이 중 제1인자인 편의성의 설명력이 기여율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 측면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 편의시설의 설치 및 적절한 배치, 공개공지 접도유형이 주요 설계요소임을 인식하고 계획 및 설계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이런 요인을 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의 상세한 법적 기준 설정과 지구단위계획에서 세부지침 등이 상세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공개공지와 관련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공지를 설계하고, 유지 관리한다면 공개공지 활용도를 높이고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오군석.김판구(2002), "감성 데이터 해석", 홍릉과학출판사.
  2. 한국도시설계학회(2006),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3. 차석빈 외4인(2001), "다변량 분석의 이론과 실제", 學現社.
  4. 김충련(2000), "SAS라는 통계상자", 데이터플러스.
  5. 안재욱(2007), "주상복합건물 공개공지 시설현황과 휴식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성식(2002), "공개공지 조성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광주광역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영주(2005), "서울도심의 복합 상업건축의 공개공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송희열(2010), "공개공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 설계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최석중(2005), "건축물 용도에 따른 공개공지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홍민정(2007), "서울시 고층 주거복합 단지 내 공개공지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전향백(2007),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현(2006), "부산지역 주상복합 아파트의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오봉탁(2006), "상업지구블록 내 업무시설의 공개공지 설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고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영천.조창제.최봉문(2002), "대전시 공개공지 조성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 2002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15. 민수영.이겸환(2005), "도심의 공개공지 이용률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창립60주년 기념) 논문집 제25권 제1호(통권 제49집) v.25 n.1.
  16. 장하리.이인성(2006),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제7권 제4호(통권 제25호).
  17. 이효창.박정아.하미경(2008), "도시 복합용도시설에 나타난 건축적 '공공성' 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본 복합용도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6호(통권 236호).
  18. Stanly B. Tankel(1997), "The Importance of Space in Urban Pattern in Cities an Space", John Hopkin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