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ility Evaluation of Network DGPS Positioning for Various Facilities Management In Dense Housing Area

주택가 밀집지역에서의 각종 시설물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DGPS 측위의 가용성 평가

  • Received : 2010.11.02
  • Accepted : 2010.11.3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Since the facility management for various facilities in urban area are conducted by general managers who have poor knowledge for surveying technology, it is not easy to trace the exact location of the facility in a short time with the GIS map only by themselves in the field. In order to improve it, VRS-RTK or SBAS DGPS system integrated with UMPC and PDA which is uploaded GIS field software are being used recently however lot of difficulties are still existed with the GPS positioning in urban area due to the lack of visible satellites, no reception of correction data and multipath error by the interruption of the high buildings and houses etc. Therefore, in this study, we applied with Network DGPS system which allows better reception of satellite signal and correction data even in dense housing areas with the use of GNSS receiver and CDMA mobile phone. Based on the analysis of field data, it was confirmed that standard deviations of the Network DGPS positioning are 0.3 to 0.84m with a very high positioning rate even in dense housing area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Network DGPS system could be used widely to fast and accurate positioning for various facilities management works in dense housing areas in the future.

도시에 산재한 각종 시설물의 유지 관리는 대부분 측량지식이 부족한 일반 관리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기 구축된 GIS 도면만으로는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신속히 찾아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GIS도면이 입력된 UMPC 또는 PDA 등의 단말기에 VRS-RTK 또는 SBAS DGPS 장비 등을 연결하여 대상물의 위치를 신속히 찾아가는 모바일현장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2~3층 규모의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가시위성수의 부족과 위치보정신호의 단절 및 다중경로의 오차 등으로 인해 측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 위성수 증강을 위해 GLONASS 신호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DGPS 장비를 사용하고, 이에 수신율이 양호한 국토지리정보원의 네트워크 DGPS 보정신호를 적용하여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네트워크 DGPS 장비는 주택가 밀집지역에서도 0.3~0.84m 이내의 높은 정확도로 측위가 가능하고 측위율도 매우 높게 나타나 향후 골목길에서의 각종시설물 관리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윤, 강인준, 송석진, 2009, "GPS 보정항법 시스템을 이용한 절개지 위치조사 기법", 한국측량학회지, 27권, 5호, pp.629-635.
  2. 김혜인, 유기석, 박관동, 하지현, 2008a, "국토지리 정보원 VRS-RTK 기준망 내부측점측량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6권, 2호, pp.139-147.
  3. 김혜인, 손은성, 이호석, 김현호, 박관동, 2008b, "SBAS 이동측위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6권, 5호, pp.493-504.
  4. 서용철, 이양원, 2007, "통합 GNSS 환경에서 도시 공간 위성측위의 가용성 시뮬레이션", 한국측량학회지, 25권, 3호, pp.231-238.
  5. 장상규, 김진수, 정공운, 2009, "VRS GPS를 이용한 필계점의 정확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권, 1호, pp.37-42.
  6. 한중희, 권재현, 홍창기, 2010, "공공기준점 측량에 적용을 위한 VRS(가상기준점) 방식의 Network-RTK 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권, 2호, pp.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