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logical Study on Wild Mushrooms at the Dongbaekdongsan of Seunheulgot in Jeju Island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 자생하는 버섯의 생태 연구

  • Ko, Pyung-Yeol (Faculty of Bioscience and Industry,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
  • Seok, Soon-Ja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Jeun, Yong-Chull (Faculty of Bioscience and Industry,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s, Jeju National University)
  • 고평열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 석순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 전용철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 Received : 2010.03.09
  • Accepted : 2010.04.0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o understand fungal species in evergreen broadleaf forest, occurrence and habitate of wild mushrooms spontaneously growing at the Dongbaekdongsan of Seonheulgot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Fung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n area of $500\;m^2$ size consisting of four designated plots from in June 2007 to December 2008. Wild mushrooms were identified 69 genera and 178 species within the sampling places. Among 178 species, twenty-eight genera and fifty species were first reported in Jeju Island. Especially, Amanita pseudogemmata was first recorded in Korea. The mushroom specie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n the basis of fungal habitats in which 44 species were on dead tree, 29 species on fallen leaf, 99 species on soil surface, 2 species on animal feces, 2 species on insect or mushroom, and 2 species on moss.

상록활엽수림에서 출현 균류를 알아보기 위해,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서 야생버섯의 출현과 서식처를 조사하였다. 버섯 샘플은 2007년 6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4개 조사구로 구성된 500 내에서 채집되었다. 버섯은 69과 178종이 동정되었고, 이중 28속 50종은 제주도에서 처음 보고되는 종이고, 선홀광대버섯(Amanita pseudogemmata)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었다. 버섯 종들은 서식처별로 6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죽은 나무에 44종, 낙엽에 29종, 토양 표면에 99종, 동물 똥에 2종, 곤충 또는 버섯에 2종 그리고 이끼에 2종).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신, 김봉찬, 송시태. 2008. 제주도 곶자왈지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91-103.
  2. 김문홍. 1998. 선흘 동백동산, 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의 식물상 및 식생. 제주발전연구원. 선흘동백동산, 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 보전대책 및 활용 방안 연구보고서. pp. 19-51.
  3. 김수철, 이정배, 오덕철. 2002. 한라산 자생버섯의 서식분포와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 15(2):49-50.
  4. 김양섭, 민경희, 석순자, 정학성, 정덕균. 1994. 고등균류의 유전자원 탐색 및 보존 연구. 과학기술처 1차년도보고서 pp. 46-47.
  5. 김양섭, 석순자, 김완규, 원항연, 이강효. 2005. 한라산의 버섯. 제주도농업기술원. p 317.
  6. 김현중, 한상국. 2008. 광릉의 버섯. 국립수목원. p 446.
  7. 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2004. 한국의 버섯-식용버섯과 독버섯. 동방미디어. p 467.
  8. 성재모. 1998. 한국의 동충하초. 교학사. p 315.
  9. 송시태. 2000.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6-23.
  10. 오덕철. 2005. 제주도 버섯자원의 다양성.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 18(2):1-29.
  11. 이용우 1959. 제주도의 균류목록. 임업연구원 임업시험장 조사보고 8:137-144.
  12. 이정배. 1998. 한라산의 고등균류상.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19.
  13. 한봉호, 김종엽, 최인태, 이경재. 2007.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06-346.
  14. Bok, Jin-Deok and Shin, Gwan-Chul, 1985.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Lactarius of Korea. Kor. J. Mycol. 13(4):249-262.
  15. Breitenbach, J. and Kranzlin, F. 1991. Fungi of Switzerland. Mycological Society of Lucerne. Switzerland. Vol. 1-6.
  16. Dennis, R. W. G. 1981. British Ascomycetes. Royal Botanic Garden. KEW. pp. 585.
  17. Grund, D. W. and Harrison, A. K. 1976. Noba Scotian Boletes. J. Cramer. Germany. pp. 36-48.
  18. Imazeki, R. and Hongo, T.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Hoikusha. Japan. p 325.
  19. Imazeki, R. and Hongo, T., 1989.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 Hoikusha. Japan. p 315.
  20. Imazeki, R, Y. Otani, Y. and T. Hongo, 2002. Fungi of Japan. Yamakei Pubulishers. Japan. p 623.
  21. John Webster & Roland W.S. Weber. 2007. Introduction to Fungi 3. New York. pp. 581-592.
  22. Seaver, F. J. 1978. The North American Cup-Fungi. Subrecht & Cramer. New York. pp. 198-200.
  23.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oeltz Scientific Books. Koenigstein. Germany. p 981.
  24. Ikeda. Y. 2005. Mushrooms and Toad stools Pictured Book of Hokuriku. Hashimoto Kakubundo. Japan. p 395.

Cited by

  1. Species Diversity of Spontaneous Mushrooms on Jeju Island vol.42, pp.2, 2014, https://doi.org/10.4489/KJM.2014.42.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