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trogen Application Method for High Quality and Labor Saving in Rice Production under Amended Standard N Application Level

표준 질소시비량이 감소된 조건에서 쌀 품질 향상과 노력절감을 위한 질소 시비방법

  • Received : 2010.01.1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In Korea, standard N application level was amended from 110 to 90kg per ha for high quality rice production in 2005. So far, N application method, however, has not been considered for yield and quality based on changed standard N application level. Therefor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more efficient N application method for improving rice quality or labor saving under the amended standard N application level with several varieties at three site (Suwon, Iksan, and Milyang) for two years from 2005 to 2006. Top dressing of N at 15 days before heading compared to the standard (25 days before heading) showed improved rice qualities such as 1000 grain weight and head rice ratio without changing rice yield and protein content of brown rice.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yield and quality between different N split application of 70-0-30% and 50-30-20%, indicating that the former would be useful for labor saving without yield decrease and quality deterioration.

표준시비량이 감소된 조건에서 좀 더 효율적인 질소시비방법을 확립하고 이들이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차, 지역 및 품종별로 질소시비방법을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차, 지역 및 품종에 관계없이 질소의 수비시용 시기에 따른 수량과 현미단백질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질소분비비율을 기비-분얼비-수비로 50-30-20 혹은 70-0-30으로 하여 질소시용시기를 출수 전 25일에서 출수 전 15일로 늦출 때 현미 천립중과 현미완전미 비율이 증가하여 고품질쌀 생산에 유리하였다. 2. 쌀 수량, 현미천립중, 현미완전미율, 현미단백질 함량 모두 일부 지역 및 품종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분산시비와 기비중점시비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사질답과 같은 토양 양분 유실이 많은 조건을 제외하고는 기비중점 시비로 관행에 비하여 수량 감소 및 품질저하 없이 생산노력비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Gastal F., and Lemaire G. 2002. N uptake and distribution in crops : an agronomical and ecophysiological perspective. J. Exp. Bot. 53: 789-799. https://doi.org/10.1093/jexbot/53.370.789
  2. Jamieson, P.D., and M.A. Semenov. 2000. Modelling nitrogen uptake and redistribution in wheat. Field Crops Res. 68: 21-29. https://doi.org/10.1016/S0378-4290(00)00103-9
  3. Mae T. 1997. Physiological nitrogen efficiency in rice: nitrogen utilization, photosynthesis, and yield potential. Plant Soil. 196: 201-210. https://doi.org/10.1023/A:1004293706242
  4. Mills, H.A., and J.B. Jr. Jones. 1979. Nutrient deficiencies and toxicities in plants; nitrogen. J. Plant Nutr. 1: 101-122. https://doi.org/10.1080/01904167909362704
  5. Nguyen, H.T., M.H. Kim, L.T. Nguyen, B.W. Lee. 2006. Response of grain yield and milled-rice protein content to nitrogen rates appli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rice. Korean J. Crop Sci. 51(1): 14-25.
  6. Ntanos, D.A., and Koutroubas, S.D. 2002. Dry matter and N accumulation and translocation for Inadi ca and Japonica rice under Mediterranean conditions. Field Crops Res. 74, 93-101. https://doi.org/10.1016/S0378-4290(01)00203-9
  7. 강양순, 이종훈, 김정일, 이재생. 1997. 규산시용이 미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42(6): 800-804.
  8. 김정곤, 김창영, 이정일, 신진철, 이문희. 1998. 이앙시기 및 질소시비량이 유색이 '흑진주벼'의 건물생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업환경연구논문집 40(2): 48-55.
  9. 농림부. 2006. 쌀혐상 국민 대토론회 발표자료. 6-7pp.
  10. 농식품부. 2009. 2008 농림통계연보. 298pp.
  11.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pp269-290.
  12. 오용비, 김병호, 안종국, 임무상, 박래경. 1990. 벼 기계이앙 재배시 측조시비 효과 구명. 3. 수비시기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32(3): 1-10.
  13. 유철현, 신복우, 이상복, 조국현, 이경수. 1996. 무논 골뿌림에서 질소 수비 시기 및 시용량에 따른 벼의 생육과 수량성. 한토비지. 29(1): 3-7.
  14. 이종훈. 2001. 최신 도작과학. 선진문화사. p.167, pp.257-258.
  15. 이충근, 박호기, 구본철, 이재은, 신진철. 2007. 벼 표준시비량이 감소된 조건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부지역 질소 시비방법 연구. 작물과학연구논총 8:490-499.
  16. 작물과학원. 2005. 지역 및 지대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이앙 적기, 적정 질소 시비량 및 수확적기.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 및 수확 후 관리 기술 확립 제3차년도 완결보고서 pp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