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Obesity in the Korean Literature

비만의 한방 치료에 대한 국내 임상 논문 고찰

  • Moon, Su-Jeo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ong, Jae-Cheol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won, Young-Dal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Song, Yong-Su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Han, A-Lum (Dept. of Family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won, Young-Mi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Su-Kyu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문수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공재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권영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송용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한아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권영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 이수경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clinical studies on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obesity in Korean literature and to propose for the better method of clinical studies in order to seek more effective treatment. Electric searches were performed with NDSL,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4U, DBPIA, KISS, KMBASE, KoreaMed,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and Oasis. Also, 21 major journals associated with oriental medicine in Korea were searched manually. Eighty three studies were included and analyzed in terms of study design, subjects, interventions, results and evaluation of safety. The numbers of controlled, non-controlled and case studies are respectively 26(31%), 43(52%) and 14(17%). Studies using sample size less than 30 accounts for 49% and studies using subjects diagnosed as obese or overweight by specific criteria were 35(42%). Studies which used more than 2 interventions or co-interventions were 76%. Clinical studies which used single herbal medicine were few and clinically studied single herbal medicine were limited to ephedra. More than half of 83 studies were studied for 8 weeks and less. 12% of 69 studies(except case studies) were not statistically analyzed and studies which evaluated safety of intervention were 22(27%) and reported adverse events were 9(11%).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studies on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obesity, studies need to use restricted number of interventions and subjects need to specifically diagnosed as overweight or obese.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single herbs need to be clinically studied based on experimental studies and herbalogy.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기획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08년 국민건강통계. .
  2. Robert H. Eckel. Obesity. 최신 비만 치료가이드. 서울: 한우리. 2004:6-7.
  3. 박정현, 남종경, 권동현, 김호준, 이명종. 비만 치료 한약의 무작위 대조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9;19(3):33-46.
  4. Cho SH, Lee JS, Thabane L, Lee J.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9. 33, 183-196. https://doi.org/10.1038/ijo.2008.269
  5. 정재혁, 황덕상, 이창훈, 김용석, 이경섭. Scopus 검색을 통한 비만 치료에 응용되는 침 연구에 대한 최근 동향 고찰 - 2006년 이후를 기준으로.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8;8(1):23-32.
  6.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한국에서 비만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문헌 연구 -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65-81.
  7. 염승철. 침 요법을 통한 국내 비만치료의 최근 경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3):548-553.
  8. 박철.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게재된 비만 실험 논문에 대한 고찰. 익산.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9. 양창섭, 형례창, 여진주, 서의석, 장인수. 마황복용이 정상성인의 체중 감소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무작위배정 이중맹검시험.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4):836-843.
  10. 정순관, 김동은, 유덕선, 염승룡, 송용선, 권영달. 절식요법을 시행한 입원환자의 후향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4):171-187.
  11. 이수경, 진신영, 박성철, 김선종, 임양의, 송용선. 節食療法이 肥滿患者의 體成分變化에 미치는 影響.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0;10(1):79-86.
  12. 여진주, 형례창, 양창섭, 정승일, 서의석, 장인수. 마황 복용이 성인의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중맹검 임상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28(1):63-71.
  13. 박정미, 김호준, 김진아, 김수진, 고병표. 오수유와 마황이 저열량식이요법을 병행한 비만여성환자의 체구성성분 및 휴식대사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5;26(3):249-262.
  14. Kim HJ, Park JM, Kim JA, Ko BP. Effect of Herbal Ephedra sinica and Evodia rutaecarpa on Body Composition and Resting Metabolic Rate: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Journal of Acupuncture & Meridian Studies. 2008;1(2):128-138. https://doi.org/10.1016/S2005-2901(09)60033-9
  15. 안순선, 허동석. 경피기주요법과 전기지방분해침이 복부지방에 미치는 임상적 관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19(2):275-287.
  16. 송미영, 박지훈, 이정호, 김호준, 이명종. 피하지방 감량에 있어 경피침주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7;7(1):71-85.
  17. 이상학, 정석희, 신현대. 太陰調胃湯 복용 전후 비만 지표와 심박변이도와의 관18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47-54.
  18. 오승준, 정인경, 김영설, 최영길, 팽정령, 배정환, 신현대. 비만증에서 홍삼복합제품의 체지방 감소효과 연구. 경희의학. 1999;15(2):157-165.
  19. 서동민, 이상훈, 이재동. 비만 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22(5):145-153.
  20. 이성덕, 송태원. 대체의학을 이용한 비만 치료의 실제.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논문집. 2000;9(1):503-11.
  21.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제2판. 2005. p.384, 388.
  22. 배병철. 今釋皇帝內經素問. 서울:성보사. 1994. p.291.
  23.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03. 서울:의학. 2003. p.24.
  24. Kopelman P G. 실전비만학: 성인&소아. 서울:가본의학. 2008. p.8.
  25. 진광선, 비만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대전. 대전대학교대학원. 2004.
  26. 임제연, 송윤경, 임형호.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경향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2):63-77.
  27. 이주아, 공경환, 고호연, 배광호, 박선영, 박경무, 송윤경, 박정현, 김호준, 박선주, 박정수, 고성규.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관한 임상시험의 최근 경향. 한방비만학회지. 2009;9(1):15-22.
  28. Akeberg A K. Understand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2005;90: 840-844. https://doi.org/10.1136/adc.2004.058222
  29. 윤영희, 최인화. 한약제제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서 대조군 설계의 문제점과 대안.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2):94-101.
  30. 정찬영, 장민기, 조재용, 김은정, 박인식, 김갑성. 침 임상시험 논문에 적용한 Sham Acupuncture에 대한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8;25(6):77-93.
  31. 한성수, 구창모, 홍권의, 박양춘, 최선미. 근거 중심 의학 (EBM)에 바탕을 둔 임상시험(Clinical Trial)에서 침 치료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대한침구학회지. 2006;23(6):1-8.
  32. 이향숙, 박종배, 서정철, 박히준, 이혜정. 침의 대조군 연구에서 실험처치 보고에 대한 표준-STRICTA 권장안 및 침임상실험에서 최적의 치료, 거짓대조군 및 블라인딩에 관한 동의안. 대한침구학회지. 2002; 19(6):134-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