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GIS Based Wetland Inventory and Its Use

GIS에 기반한 습지목록의 제작과 활용

  • Yi, Gi-Ch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 Lee, Jae-Won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 Kim, Yong-Suk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Received : 2009.12.02
  • Accepted : 2010.02.02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way to build a comprehensive wetland ecosystem database using the technique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Landsat TM image (taken in Oct. 30, 2002), Kompsat-2 images (Jan. 17, 2008 & Nov. 20, 2008), LiDAR(Mar. 1, 2009) were used for the primary source for the image analys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March to August of 2009 to help image analysis and examine the results. An actual wetland vegetation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field survey.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by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such classes as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mixed community, sand beach,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and non-vegetation intertidal area. The map of wetland productivity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ductivity of Phragmites australis and the relationship to the proximity of adjacent water bodies. The developed 3 dimensional wetland map showed such several potential applications as flood inundation, birds flyway viewsheds and benthos distribu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for producing wetland ecosystem spatial database and these techniques are ver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wetland inventory in Korea.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의 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생태계의 공간정보 추출을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습지목록을 제작하였다. 습지와 관련된 현장 조사는2009년 3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고, Landsat TM (2002년 10월 30일), Kompsat-2 (2008년 1월 17일 & 2008년 11월 20일) 인공위성 영상 자료와 항공 LiDAR (2009년 3월 1일)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된 수치지형도(1:5,000)를 사용하였다. 각종 영상자료는 기하보정한 후, 감독분류 및 무감독분류를 실시하여 현지 식생조사 자료와 비교, 분석해 습지분류도를 제작하였으며, 습지의 생산력을 분석하기 위해 낙동강 하구 습지의 우점식물종인 갈대군락의 생산성에 근거한 습지생산력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제작된 3차원 습지지도는 철새의 가시권 분석, 침수 모델링, 저서생물의 분포 특성 파악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러한 기법들을 잘 이용하면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목록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학. 2009. 습지생태학. 도서출판 조경. 101-157쪽.
  2. 김구연, 이찬우, 윤해순, 주기재. 2005.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8(5):335-337.
  3. 박수영, 윤성윤, 이기철, 김귀곤, 배덕효, 김형수, 경남발전연구원. 2000. 습지학 원론:한국의 늪. 은혜기획. 55-74쪽.
  4. 여운상. 2009. 낙동강 새섬매자기 군락의 감소원인. 부산발전연구원. 새섬매자기보전 세미나 발표자료.
  5. 유복모, 토니쉥크. 2003. 현대 디지털사진측량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93-144쪽.
  6. 윤해순. 1987. 낙동강 하구에서의 수금류 식이식물의 현존량과 이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3-135쪽.
  7. 윤해순. 1991. 낙동강 하구 간석지의 수생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하구언 건설 전후 의 간석지 식생의 생산성 비교. 한국생태 학회지 14(1):63-73.
  8. 이기철, 윤해순, 김승환, 남춘희, 옥진아. 1999.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습지 생태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1-15.
  9. 이기철, 이원화, 윤해순, 남춘희, 김구연, 김승환, 서상현. 2004. GIS와 RS를 이용한 생태지도 작성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57-69.
  10. 일본환경성. 1998, 1999, 2000. 도쿄만의 매립사업에 따른 환경영향조사.
  11. 환경부. 2005. 2004 하구역생태계 정밀조사. 국립환경연구원.
  12. Barrette, Jeffrey, Peter August and Franc is Golet. 2000. Accuracy Assessment of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Using Aerial Photography and Digital Orthophotography. PE&RS 66(4):409-416.
  13. Paine, Jeffrey G., William A. White, Rebecca C. Smyth, John R. 2005. Combining EM and LiDAR to map coastal wetlands : An example from mustang island Texas. ASPRS.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ph ysical Society(Proceedings) 745-756pp.
  14. Cowardin L. M., V. Carter., C. Golet. and E. 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ub. FWS/OBS-79/31 WA. DC. pp.103.
  15. Fredrickson, L. H. F.A Reid., 1988. Nutritional values of waterfowl foods. Waterfowl management handbook. Fish and Wildlife leatlet 13pp.
  16. Kelly, M. & K. Tuxen. 2006. Integrating LiDAR and CIR Imagery for Mapping Tidal Wetlands. PE&RS 72(7):251-257.
  17. Yi, Gi-Chul, Risley, D., Koneff, M. and Davis, C. 1994. Value and Use of Ohio's GIS-based Wetlands Inventory.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49(1):23-28.

Cited by

  1.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지역 생태환경 변화 vol.13, pp.3,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0.13.3.053
  2. 습지목록의 개발, 가치 및 활용방안 vol.14, pp.2, 2010, https://doi.org/10.17663/jwr.2012.14.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