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 Yun, Hee-Cheon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Min, Kwan-Sik (Go-One Aerial Information Co., LTD.) ;
  • Kim, Min-Gyu (Dept. of Civi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7.26
  • Accepted : 2010.09.0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As global warming has caused the number of abnormal changes in climate to increase throughout the world, much damage has occurred recently in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s from unexpected heavy rains, landslides, and floods from typhoons. To prevent and cope with these annually repeated natural hazards, the overall improvements are needed, including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existing natural hazard information and improvement of hazard information. In this study,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was constructed a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hazard managemen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azard response capabilities in the field.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with a new concept by fus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hazard attribute information is able to support quick decision for hazard management making and development of hazard information system.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자연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반도에서는 게릴라성 집중호우 및 태풍에 의한 대규모 홍수 및 산사태로 인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해마다 반복되는 이들 자연재해에 대해 예방 대비 및 대응을 위해서는 기존의 재해정보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고도화와 함께 재해관리 전반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재해관리 및 대응기능 강화와 재해 현장에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치영상 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를 구축 하였다. 최신의 지형공간정보와 재해속성정보의 융합을 통해 구축된 새로운 개념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는 피해현황 및 상황의 가독성을 높여 피난활용 및 신속한 의사결정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어 향후, 재해정보관 리시스템 및 피해조사시스템 개발시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준, 곽재하, 정재형. 1992. 항공사진판독에 의한 자연재해예측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10(2):57-62.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2. 홍수지도 제작 보고서(한강 유역권 시범제작).
  3. 소방방재청 국립방재연구소. 2000. 홍수재해지도 작성 제도화 및 침수예상지역 추정방법 개발(I). 1-35쪽.
  4. 윤희천, 엄대용, 이용욱, 김정우. 2003. 가상 홍수시나리오에 의한 홍수범람 해석. 한국측량학회지 21(2):181-189.
  5. 이강원. 2006. GSIS 다중자료를 이용한 재해 탐지체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쪽.
  6. Bates P.D. and A.P.J. De Roo. 2000.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Journal of Hydrology 236(1-2):54-77.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78-X
  7. Evans, E.P. and P.H., Lany. 1983. Mathemetical Model of Overbank Spilling and Urban Flooding. Int. Conf. on Hydraulic Aspects of Floods & Flood Control.
  8. Geoffrey C.P., A.S. Jack, A.F. Christopher, W.R., Steven. 2002. Three-dimensional mapping of geomorphic controls on flood-plain hydrology and connectivity from aerial photos. Geomorphology 48(4):329-347. https://doi.org/10.1016/S0169-555X(02)00078-8
  9. Kaab A. 2000. Photogrammetry for early recognition of high mountain hazards: New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 B: Hydrology, Oceans and Atmosphere 25(9):765-770.
  10. Syme, W.J. and G.N. Paudyal. 1994. Bangladesh flood management model. Proc. of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iver Flood Hydraulics, pp.167-176.
  11. U.S. Army Corps of Engineers,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1994. Authorized and operating purposes of crops of engineers reservoirs. pp.1-4.

Cited by

  1. LX의 정보지도 서비스를 위한 주제선정 및 시범제작 vol.45, pp.1, 2010, https://doi.org/10.22640/lxsiri.2015.45.1.123
  2. 위성자료를 활용한 미계측유역의 홍수피해액 추산기법 개발 및 적용 vol.53, pp.12,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20.53.12.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