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nges in Land Use of Hills Using Time Series Data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 Park, Jong-Chul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ngju Nat'l Univ.) ;
  • Kim, Man-Kyu (Department of Geography, Kongju Nat'l Univ.)
  •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 김만규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0.07.11
  • Accepted : 2010.09.14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Since hills are transitional area between plains and mountains, they are always under pressure to be developed. In the past, hills were recognized as areas that can be developed easily, but in the present they should be considered and preserved as forest resources. So fa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cultivation status and transitional procedure.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changes in land use using time series data. To do so, this study has created a land use map for 1915, 1972, 2002 and 2006, and conducted a spatial analysis based on GIS. The research areas(the total size of the hills are 3,034 ha) are located in Chungcheongnam-do of South Korea. The size of the forest area of the hills in the research zone has decreased by 50% during the period of 1915 to 2006. The size of the reduced forest area after 2002 is similar to size of the reduced area that had taken place for the last 30 years before 2002. The reduction in forest area in the research area has led to increases in paddy field, upland field, artificial structures, and bare land. From 1915 to the late 1980s, hill development had been related to the primary industry and after the late 1980s, it ha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industry including industrial complex.

야산은 평지와 산지의 점이적인 지역이기 때문에 언제나 개발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과거 야산은 산지에 비해 개발이 용이한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이제는 산림 자원으로 인식하고 보전할 필요성도 있다. 현재 개간 현황 및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야산의 토지이용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5년, 1972년, 2002년, 2006년의 토지이용도를 작성하고 지리정보체계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충청남도 당진군 면천면, 순성면, 합덕읍과 예산군 봉산면, 고덕면 경계 지역이며 야산의 총 면적은 3,034ha이다. 연구지역 야산의 산림 면적은 1915년~2006년 동안 50% 감소하였다. 2002년 이후 4년 사이의 산림 감소 면적은 그 이전 30년의 감소량과 비슷하다. 연구지역 야산의 산림감소는 논, 밭, 인공구조물, 나지 등 개간지의 증가로 이어졌다. 1915년부터 1980년대 말까지의 야산 개간은 1차 산업과 관련이 있으며, 그 이후의 야산 개간은 농공단지개발 등 2차 산업과 관련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봉겸, 키요시 야마다, 타카끼 노렌, 조명희. 2003. Landsat-TM 밴드비 연산데이터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2):80-91.
  2. 권혁재. 1975. 호남평야의 충적지형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지리학 12:1-20.
  3. 권혁재. 1995. 한국지리 : 각 지방의 자연과 생활. 법문사. 70-79쪽.
  4. 권혁재. 2007. 우리 자연 우리의 삶 : 남기고 싶은 지리이야기. 법문사. 188-194쪽.
  5. 기상청. 2006. 기상연보. 83쪽.
  6. 김순아, 이우균, 손요환, 조용성, 이미선. 2009 산림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모형의 국내 적용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8(1):33-48.
  7. 김재수, 김경하, 정용호. 2003. 세계 물의 해에 생각해 보는 숲 가꾸기의 물 자원 증진효과. 한국임학회지 92(3):161-167.
  8. 김종호, 이경학, 박찬우, 서정원, 손영모, 김경하, 윤호중, 박찬열, 이승우, 오정수. 2006.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2):7-15.
  9. 김주훈, 이충대, 김경탁, 최윤석. 2007. WAMIS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 분석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122-131.
  10. 김희권, 전장협, 김대향, 정지호, 박건호. 1990. 야산 개간지 토양에서 땅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서회시용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3(3):180-187.
  11. 동아출판사. 1994. 새국어사전. 586쪽, 1370쪽.
  12. 박용하, 전성우, 최재용, 정휘철, 김정원. 2000.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 평가 및 대응방안 I - 산림생태계 부문을 주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14쪽.
  13. 박호명, 백태경. 2009.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부산광역시 도시화지역의 확산과정과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23-33.
  14.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93-103.
  15. 산업자원부, 한국산업단지공단. 2006. 전국산업단지현황통계. 32쪽.
  16. 이득배, 임건재, 권태오, 이상복, 소재돈. 1991. 야산개간지에서 근류균 접종 및 석회 비종별 시용이 땅콩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식물체중 양분함량 및 수량.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4(3):210-218.
  17. 이승호, 허인혜, 이경미, 권원태. 2005. 우리나라 상세기후 지역의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6):983-995.
  18. 장안진, 김형태. 2008. 항공사진과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바이오매스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66-173.
  19.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2.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3):9-18.
  20. 주용진, 박수홍. 2003. 시계열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예측 확률모형의 구현. 지리학연구 37(4):373-385.
  21. 지식경제부 한국산업단지공단. 2008. 농공단지 개발 및 지원업무 편람. 1-7쪽.
  22. 채상석. 1974. 호남야산에 분포하고 있는 적황색토에 관한 연구 - 토양비옥도 증진에 관하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7(1):29-34.
  23. 한국지리정보연구회. 2004. 자연지리학사전. 65-66쪽, 660-661쪽.
  24. 한갑수, 김경남. 2010. 항공사진을 활용한 양양 해안사구 지역의 토지피복 변천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07-118.
  25. 허성구, 김기성, 안재훈, 윤정숙, 임경재, 최중대, 신용철, 유창원. 2006. GIS 기반의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에 따른 수(水)환경 영향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81-94.
  26. 환경부. 지리정보서비스 http://egis.me.go.kr
  27. Collins, C.A., D.W. Wilkinson and D.L. Evans. 2005. Multi-temporal analysis of landsat data to determine forest age classes for the mississippi statewide forest inventory-preliminary results. Proceedings of Analysis of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Images 2005 International Workshop. pp.10-14.
  28. Deppe, F. 1998. Forest Area Estimation Using Sample Surveys and Landsat MSS and TM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4(4):285-292.
  29. EPA. 2002. An Accuracy Assessment of 1992 Landsat-MSS Derived Land Cover for the Upper San Pedro Watershed(U.S./Mexico). pp.15-16.
  30. Ernani, M.Z. and D. Gabriels. 2006. Detection of Land Cover Changes using Landsat MSS, TM, ETM+Sensors in Yazd-Ardakan Basin, Iran. Proceedings of Agro Environ. pp.513-519.
  31. Fung, T. 1992.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 detection with Landsat MSS and SPOT HRV data in Hong Kong. Geocarto International 7(3):33-40. https://doi.org/10.1080/10106049209354378
  32. Gao, J. 2008. Detection of Changes in Land Degradation in Norteast China From Landsat TM and ASTER Dat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I. Part B7, pp.1533-1538.
  33. Gautam, N.C. and L.R.A. Narayan. 1983. Landsat mss data for land use and land cover inventory and mapping: A case study of Andhra Pradesh. Journal of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1(3):15-27.
  34. Nelson, S., P.A. Soranno and J. Qi. 2002. Land-Cover Change in Upper Barataria Basin Estuary, Louisiana, 1972–1992: Increases in Wetland Area. Environmental management 29(5):716-727. https://doi.org/10.1007/s00267-001-0060-9
  35. Peterson, U. and R. Aunap. 1998. Changes in agricultural land use in Estonia in the 1990s detected with multitemporal Landsat MSS image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1(3-4):193-201. https://doi.org/10.1016/S0169-2046(98)00058-9

Cited by

  1. Effect of parameter optimization for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model on predictability in land cover change vol.26, pp.3, 2010, https://doi.org/10.35149/jakpg.2016.26.3.006
  2. Improving a Relative Favorability Func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Land Categories Data vol.27, pp.3, 2010, https://doi.org/10.35149/jakpg.2017.27.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