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of a Data Model for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Based on Spatial Database

공간DB 기반의 강우-유출 모의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 Kim, Ki-Uk (Dept. of the IT Convergence and Appl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Soo (Dept. of the IT Convergence and Appl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기욱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 김창수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for the SWMM data generation connected with the spatial database and designed the data model in order to display flooding information such as the runoff sewer system, flooding areas and depth. A variety of data, including UIS, documents related to the disasters, and rainfall data are used to generate the attributes for flooding analysis areas. The spatial data is constructed by the ArcSDE and Oracle DB. The prototype system is also developed to display the runoff areas based on the GIS using the ArcGIS ArcObjects and spatial DB.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the flooding analysis based on the SWMM.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DB에 구축된 유역 및 관거 데이터로부터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데이터를 생성하고, 유출 위험관거, 침수지역 및 침수심 등의 분석정보를 GIS기반의 지도에 표출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UIS(Urban Information System)와 재해대장, 기상자료 등을 기반으로 침수분석 지역의 속성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 ArcSDE 및 Oracle DB를 사용하여 공간데이터를 생성하였다. 또한 유출 위험지역을 지도에 표출하기 위해 ArcGIS ArcObject와 공간DB를 연계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침수분석 연구에 SWMM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이정은, 황현숙, 김창수. 2008. UIS 기반 홍수관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데이터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집. 11(2):247-256.
  2. 이양재, 신상영, 이창희. 2008. 도시지역 방어 침수위 설정방법 비교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8(3B):271-281.
  3. 이정민, 2007. 투수성 포장과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수정 SWMM의 개발 및 적용. 부경대학교 대학원:1-181.
  4. 이정민. 2008. SWMM5와 UNET 모형을 이용한 신항만 저지대 침수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4(4):442-451.
  5. 이종형, 연기석. 2008. XP-SWMM 모형을 적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8(5):155-161.
  6. 이창희, 한건연, 최규현. 2006a.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15-125.
  7. 이창희, 한건연, 노준우. 2006b. Dual-Drainage 개념에 의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4B):379-387.
  8. 이창희, 한건연. 2007. 건물영향을 고려한 GIS 기반 도시침수해석 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0(3):223-236.
  9. 장승재. 2009. SWMM을 활용한 침수예상지역 우수저류조의 적정크기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3):69-75.
  10. 정인균. 2004. 유역경계 및 하천망 추출을 위한 DEM 전처리 기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1-85.
  11. 조완희, 한건연, 김영주. 2010. GIS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에서의 건물영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19-132.
  12. 최철웅, 강인준. 2001. 지형공간정보의 민감도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1(1-D):87-95.
  13. 하성룡, 이강원. 2006. 수문학적 유사단위와 우수관망의 공간정밀도가 SWMM모형 성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79-90.
  14. 황의호, 권형중, 이근상, 유병혁, 고덕구. 2008. 수문학적 유역특성자료 자동화 추출 및 분석 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1-12.
  15. Albert, K.W. and G. Brent. 2007. Spatial Database Systems Design, Implementation and Project Management, Springer, Netherlands, pp.1-522.
  16. Hsu, M.H., Chen, S.H. and Chang, T.J. 2000. Inundation Simulation for Urban Drainage Basin with Storm Sewer System. Journal of Hydrology, 234(1-2):21-37.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37-7
  17. Huber, W.C. and R.D. Dickinson. 2003.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EAP Technical Manual:1-249.
  18. Kim, K.U., H.S. Hwang and C.S. Kim. 2007b. A Prototype of an Urban Flood Warning System using Sewer Networks connected with SWMM. Journal of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8:474-484.
  19. Park, D., J. Gironas and L.A. Roesner. 2006. Improvement of the EXTRARN block in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Conference of the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 pp.1-12.
  20. Philippe. R. and S. Michel. 2002. Spatial Databases with Application To GIS. Morgan Kaufmann, pp.1-372.
  21. Schmit, T.G., M. Thomas and M. Ettrich. 2004. Analysis and Modeling of Flooding in Urban Drainage System. Journal of Hydrology 299(3-4):300-311. https://doi.org/10.1016/S0022-1694(04)00374-9

Cited by

  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피해자 관리시스템 vol.14, pp.1,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1.059
  2. 공간DB엔진(SDE)을 이용한 수치임상도 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Revision 1.0) vol.14, pp.3,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3.001
  3. 재해정보를 이용한 우회경로 및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개발 vol.15, pp.1,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