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 to Sleep and Depression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 수면, 우울과의 관련성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2.0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Objectives: "Internet-addiction" came into common use not only in clinical setting but also in everyday life. But, pathophysiology and diagnostic criteria of the internet addiction remain unknown. Because adolescents are in developing period, they might be vulnerable to the 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nd sleep-related probl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addi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sleep pattern and depression in Korean adolescence. Methods: Subjects were 79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We administer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socio-demographic data, Korean versions of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YIA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CES-D) and questions about internet using patterns. Data of 696 subjects were included in analysis.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proportional differences, and ANOVA with post-hoc 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groups. Partial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internet addiction with other variables (two-tailed, p<0.05). Results: Of the 696 participants (grade 2 of middle school; M2 135 vs. grade 1 of high school; H1 238 vs. grade 2 of high school; H2 323), 2.0% (n=14) were internet-addicted (IA), 27.7% (n=193) were over-using (OU) and 70.3% (n=489) were not-addicted (NA). The mean scores of YIAS, PSQI and CES-D scores were 35.24${\pm}$12.78, 5.53${\pm}$3.04 and 16.72${\pm}$8.69, respectively. In higher grade students, average total sleep time was shorter (M2 426.20${\pm}$67.68 min. vs. H1 380.47${\pm}$62.57 min. vs. H2 354.67${\pm}$73.37 min., F=51.909, p<0.001), and PSQI (4.69${\pm}$3.14 vs. 5.42${\pm}$3.15 vs. 5.97${\pm}$2.83, F=8.871, p<0.001) CES-D (13.53${\pm}$8.37 vs. 16.96${\pm}$8.24 vs. 17.87${\pm}$8.84, F=12.373, p<0.001)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er grade students. Comparing variables among IA, OU and NA groups, computer using time not for study (96.36${\pm}$63.31 min. vs. 134.92${\pm}$86.79 min. vs. 213.57${\pm}$136.87 min., F=34.287, p<0.001) and portable device using time not for study (84.22${\pm}$79.11 min. vs. 96.97${\pm}$91.89 min. vs. 152.31${\pm}$93.64 min., F= 5.400, p=0.005) were different among groups. PSQI (5.26${\pm}$2.97 vs. 6.08${\pm}$2.97 vs. 7.50${\pm}$4.41, F=8.218, p<0.001) and CES-D scores (15.40${\pm}$8.08 vs. 19.05${\pm}$8.42 vs. 30.43${\pm}$13.69, F=32.692, p<0.001) were also different among groups. YIAS score were correlated with computer using time not for study (r=0.356, p<0.001) and portable device using time not for study (r= 0.136, p<0.001). PSQI score (r=0.237, p<0.001) and CES-D score (r=0.332, p<0.001). YIAS score and PSQI score (r=0.131, p= 0.001), YIAS and CES-D score (r=0.265, p<0.001), PSQI score and CES-D score (r=0.357, p<0.001) were correlated each othe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s' internet-addiction was correlated with not only computer and portable device using time not for study but also depression and sleep-related problems. We should pay attention to depression and sleep-related problems, when evaluating internet-addiction in adolescents.

목 적: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의 정확한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와 진단 기준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청소년은 발달 과정 중에 있기 때문에 인터넷 중독에 더 취약할 가능성이 있으며, 우울감과 수면 문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면 양상, 그리고 우울감의 특징과 그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 시내 일 중, 고등학교의 중학교 2학년(155명),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64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696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에는 Young 인터넷 중독 척도(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YI-AS),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우울감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그리고 인터넷 사용 패턴과 기본적인 인구학적 정보에 대한 질문들이 포함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을 학년별, YIAS 점수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고, YIAS와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wo-tailed, p<0.05). 결 과: 인터넷 중독군(internet-addicted, IA)은 14명(2.0%), 과사용군(over-using, ou)은 193명(27.7%), 비중독군(not-addicted, NA)군은 489명(70.3%) 이었으며, 전체 대상군의 평균 IAS 점수는 35.24점, PSQI 점수는 5.53점, CES-D 점수는 16.72점이었다. 평일 평균적인 수면 시간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점점 감소하였다(F=51.909, p< 0.001). IA군, OU군, NA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컴퓨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96.36${\pm}$63.31분 vs. 134.92${\pm}$86.79분 vs. 213.57${\pm}$136.87분, F=34.287, p<0.001), 휴대용 전자기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84.22${\pm}$79.11분 vs. 96.97${\pm}$91.89분 vs. 152.31${\pm}$93.64분, F=5.400, p=0.00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SQI 총점(5.26${\pm}$2.97 vs. 6.08${\pm}$2.97 vs. 7.50${\pm}$4.41, F= 8.218, p<0.001)과 CES-D 점수(15.40${\pm}$8.08 vs. 19.05${\pm}$8.42 vs. 30.43${\pm}$13.69, F=32.692, p<0.001)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YIAS 점수는 컴퓨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r=0.356, p${\pm}$0.001), 휴대용 전자기기를 공부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시간(r=0.136,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YIAS 점수와 PSQI 점수(r= 0.131, p=0.001), YIAS 점수와 CES-D 점수(r=0.265, p< 0.001), PSQI 점수와 CES-D 점수(r=0.357, p<0.001)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인터넷 중독은 행위 중독의 한 가지로 여러 정신병리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 우울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평가할 때 동반될 우울감과 수면 양상에 대한 고려가 함께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