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CART Algorithm and Ancillary Data

CART기법과 보조자료를 이용한 토양수분 추정

  • Kim, Gwang-Seob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 ;
  • Park, Han-Gyun (School of Archi. &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
  •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 ;
  • 박한균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
  • Received : 2010.02.02
  • Accepted : 2010.06.01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In this study, a method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was proposed to obtain the nationwide soil moisture distribution map using on-site soil moisture observations, rainfall, surface temperature, NDVI, land cover, effective soil depth, and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lgorithm. The method was applied to the Yong-dam dam basin since the soil moisture data (4 sites) of the basin were reliable. Soil moisture observations of 3 sites (Bu-gui, San-jeon, Cheon-cheon2) were used for training the algorithm and 1 site (Gye-buk2) was used for the algorithm valid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observed and estimated data of soil moisture in the validation sites is about 0.737.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the lack of reliable soil moisture observation for various land use, soil type, and topographic conditions, the soil moisture estimation method using ancillary data and CART algorithm can be a reasonable approach since the algorithm provided a fairly good estimation of soil moisture distribution for the study area.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 작성을 위하여 지상관측 토양수분, 강수량, 지면온도, NDVI, 토지피복, 유효토심 등과 같은 보조자료와 CART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추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신뢰성 높은 토양 수분 관측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4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수분을 추정하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3개 지점(부귀, 상전, 천천2)의 토양수분 관측치는 토양수분 추정 모형 수립에 사용하였으며, 검증에 1개 지점(계북2)이 사용되었다. 관측지점들의 토양수분의 관측치와 추정치 사이의 상관계수가 약 0.737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였다.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존재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추정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추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섭 (2006). “PSR C-band 및 ESTAR L-band 측정치 를 사용한 다중 채널 원격측정 토양수분 자료의 변화도 비교.”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29-334.
  2. 김광섭, 이을래(2004). “신경망기법과 보조자료를 사용한 원격측정 토양수분자료의 Downscaling기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21-29.
  3. 박은주, 황철수, 성정창(2002). “위성영상의 토양수분 정보와 공간적 요인을 고려한 가뭄 민감도 분석.”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0권, 제3호, pp. 481-492.
  4. 유철상(1998) “토양수분분산도의시간-공간적변화에대한 강우의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II-1호, pp. 23-30.
  5. 이가영, 김기훈, 김상현(2004). “설마천 유역의 토양수분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토양수분 시공간 변화양상의 특성화.” 2004년 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09-214.
  6. 조홍래, 정종철(2006).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14권, 제1호, pp. 29-41.
  7. 조홍래, 정종철(2007).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지도화.”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GIS학회, pp. 273-279.
  8. 한수희, 안재현, 김상단(2009). “토양수분의 추계학적 거동과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6호, pp. 433-443. https://doi.org/10.3741/JKWRA.2009.42.6.433
  9. 황태하,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2006). “SWAT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지수 산정과 가뭄감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4B호, pp. 345-354.
  10. Breiman, L. (1996). “Bagging Predictors.” Machine Learning, Vol. 24, No.2, pp. 123-140.
  11. Brieman, L., Friedman, J.H., Olshen, R.A., and Stone, C.J. (1984). Classification and Regrression Trees. New York, Chapman & Hall.
  12. Kim, G., and Barros, A.P. (2002). “Downscaling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with a modified fractal interpolation method using contraction mapping and ancillary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s, Vol. 83, No. 3, pp. 400-413. https://doi.org/10.1016/S0034-4257(02)00044-5
  13. Mahmood, R., and Hubbard, K.G. (2004). “An analysis of simulated long-term soil moisture data for three land uses under contrasting hydroclimatic conditions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5, pp. 160-179. https://doi.org/10.1175/1525-7541(2004)005<0160:AAOSLS>2.0.CO;2
  14. Njoku, E.G., and Entekhabi, D. (1996). “Passive microwave remote sensing of soil moisture.” Journal of Hydrology, Vol. 184, pp. 101-129. https://doi.org/10.1016/0022-1694(95)02970-2
  15. Rouse, J.W., Haas, R.H., Schell, J.A., and Deering, D.W.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eedings of the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NASA, Greenbelt, MD, Vol. 1, pp. 301-317.
  16. Yoo, C., and Kim, S. (2004). “EOF analysis of surface soil moisture field variability.”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27, pp. 831-842. https://doi.org/10.1016/j.advwatres.2004.0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