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ccording to Age in Production Workers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 Received : 2010.09.06
  • Accepted : 2010.10.13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age group of 30s, 40s, and 50s in production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20 men working in 2 workspaces of Ul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0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Chi-square, One way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0s, 40s, and 50s worker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knowledge and attitude of cerebrocardiovascular (CVD) diseases. 50s workers were significantly more higher than 30s and 40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cognition and attitude of CVD diseases. The model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explained variance of 42.3% of 30s, 36.0% of 40s, and 28.5% of 50s workers. Finally, cognition of CVD diseases and social support were predictors in explaining the level of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mong production work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production workers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Keywords

References

  1. 권은하 (2002). 건강교육프로그램이 조지혈증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한 생활양식 및 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기태 (2004). 장년층 노후준비 태도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문을 (2002). 중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스트레스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채 (2007).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지선 (2004). 사회복지사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배계희 (1988).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배문조 (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9(3), 1107-1122.
  8. 배희준, 유경무, 윤병우, 김제, 김종열, 김응규, 김병채, 노재규 (2002). 한국인의 뇌졸중 인식도에 관한 연구: 제2회 뇌졸중 홍보주간 설문조사 결과. 대한신경과학회지, 20(2), 110-117.
  9. 보건복지부 (2007). 심뇌혈관질환 대국민 인식 및 태도 조사 결과. 서울.
  10. 서문자 (1988). 편마비 환자의 퇴원 후 적응상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진현 (2001). 119 구급대원의 뇌졸중에 대한 병원전 응급처치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강숙, 구정완, 박정래, 김형수, 정영호 (2009). 고령화시대에 대비한 뇌심혈관질환 조기예방을 위한 근로자 건강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2009년 연구결과 보고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3. 이기홍, 정명호, 안영근, 김종현, 채성철, 김영조, 허승호, 성인환, 홍택종, 최동훈, 조명찬, 김종진, 승기배, 정욱성, 장양수, 조정관, 박승정,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 연구자 (2007).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초기 치료의 차이. 대한심장학회지, 37(2), 64-71. https://doi.org/10.4070/kcj.2007.37.2.64
  14. 이지은 (2002). 중년기 직장남성의 노후생활 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춘희 (2008).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경자 (2002).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애리 (2007).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광주,전남 남성 가구주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미영 (2006). 중년층의 노후생활 대책에 관한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황승일 (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현일섭 (2009).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업무상재해 인정기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Belloc, N. B., & Breslow, L. (1972). Relation of physical health and health practice. Preventive Medicine, 1(3), 409-421. https://doi.org/10.1016/0091-7435(72)90014-X
  22. Bowling, A., Banister, D., Sutton, S., Evans, O., & Windsor, J. (2002). A multidimen- 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older age. Aging & Mental Health, 6, 355-371. https://doi.org/10.1080/1360786021000006983
  23.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Questionnaire (BRFSS). USA.
  2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New Jersey, USA.
  25.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6. Hilleras, P., Jorm, A. F., Herliltz, A., & Winbald, B. (2001).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very old: A survey on a cognitively intact sample aged 90 years or abov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52, 71-90. https://doi.org/10.2190/B8NC-D9MQ-KJE8-UUG9
  27. Smith, J., Borchelt, M., Maier, H., & Jopp, D. (2002).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Journal of Social Issues, 58, 715-732. https://doi.org/10.1111/1540-4560.00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