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한복의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1.20
  • Accepted : 2010.01.06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Hanbok industry is not based on a consumer-oriented market system, which is related to poor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such as product planning, marketing, and flow of raw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and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important aspects of consumer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about Hanbok, and thereby aims to provide much-needed guidance about ways to promote the Hanbok market. Out of 1065 questionnaires distributed, a total of 1039 was returned with responses and used for analyses. The respondent sample included consumers of various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their residential areas, age, gender, education levels, and income levels. Cronbach's alpha and a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reliability and the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urvey instrument. One-way ANOVA associated with post-hoc comparison tests was us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across different demographic subgroups of consumer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generally view Hanbok as one of the formal dresses, worn one or two times per year for traditional events or ceremonies. Consumers tend to show negative opinions about the pricing, and the inconvenience in cleaning and wearing Hanbok. However, consumers think very highly of the aesthetic values, the gracious styles, and the iconic identity of nationalism of Hanbok. This study suggests that Hanbok for modern consumers should be considered as clothing for a ritual, rather than clothing to reconstruct to be fitted to modern daily lives. Hanbok should be promoted as part of up-scaled and differentiated traditional cultures, as clothing that represents and enhances the traditional elegance and beauty unique to the Korean people.

Keywords

References

  1. 조효순, 전양진, 이상은 (1998). 한복제작업체의 경영 및 유통실태 분석. 한복문화, 1(2), pp. 165-172.
  2. 조우현, 박현정, 김문영, 김용문 (2009). 한복진흥방안 모색을 위한 한복업체 기초실태분석. 복식, 59(3) pp. 42-54.
  3.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p. 119-128.
  4.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p. 135-150.
  5.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한복의 착용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7(1), pp. 129-138.
  6. 정인희, 최선형, 강순제 (1997).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착용에 대한 의식. 복식, 35, pp. 253-264.
  7.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p. 121-122.
  8.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 122.
  9.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 141.
  10. 우리옷 출판국 (1994). 아름다운 우리 옷. 서울: 아름다운 우리 옷.
  11.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 121.
  12.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 143.
  13. 최선형, 정인희, 강순제 (1998).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 착용 및 구매실태. 복식 37, pp. 33-46.
  14. 이영희 (1999). 성인여성의 생활한복 인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지원 (2001). 생활한복 소비자의 가치체계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황춘섭 (1977). 우리나라 옷에 대한 현대인의 의식과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중심으로-. 복식, 1, p. 126.
  17. 최선형, 정인희, 강순제 (1998). 한국 도시 여성의 한복 착용 및 구매실태. 복식 37, p. 43.
  18. 최영미 (1987). 도시주부의 한복 구매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 147.
  20.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한복의 착용실태와 구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7(1), pp. 137-138.
  21. 이주현, 유혜경, 김찬주, 홍나영 (2001). 현대 한국인의 한복 착용. 한국의류학회지, 25(1), p. 47.
  22. 최영미, 조효순 (1989). 한복의 구매실태 및 구매요인에 관한 분석연구-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주부를 중심으로-. 복식, 13, pp. 145-147.
  23. 고은주 (2005). 전통패션상품의 시장기회분석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제안. 한국의류학회지, 29(5), pp. 692-702.
  24. 이병화, 심화진 (2004). 한복제품의 마케팅 전략이 CRM의 질과 효익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복문화, 8(1), pp. 105-116.
  25. 이병화, 심화진 (2004). 한복제품의 점포내 서비스가 고객관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복문화, 8(2), pp. 79-88.
  26. 이병화 (2006). 한복제품의 인터넷시장 활성화를 위한 웹사이트 분석 연구. 한복문화, 9(1) pp. 11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