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Acer mono sap Exudation : Kwangyang Region in Korea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에 미치는 영향 인자 분석 : (I) 광양지역

  • Choi, Won-Sil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Mi-Jin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Hak-Ju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oi, In-Gyu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ang, Ha-Young (Division of Green Business Management,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Utilization,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원실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산업연구과) ;
  • 박미진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산업연구과) ;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산업연구과) ;
  • 최인규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환경재료과학) ;
  • 강하영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산업연구과)
  • Received : 2009.09.30
  • Accepted : 2009.10.28
  • Published : 2010.01.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 for sap exudation of Acer mono Max. tree in a site of Mt. Baekun, Kwangyang city, Korea. Amount of sap exudation, air temperature, relative air humidity and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were monitored for the period of January 5 through March 28, 2008, and correlation analysis of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ap exudation was carried out. As the diameter of Acer mono at breast height increased, the amount of sap was linearly proportional. Sap exudation initiated at February 18, and occurred intensively in the period of February 28 through March 10, resulting in 84% of total sap amount by volume. During sap exudation, the minimum temperature was averaged at $-2.4{\pm}1.5^{\circ}C$ and the maximum at $6.0{\pm}1.8^{\circ}C$, while there was no sap exudation whenever temperature was below or above $0^{\circ}C$ all the day long. The maximum temperature, range of temperature and the maximum, minimum and mean humidities in air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on amount of sap. The maximum air temperatur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0.768 (P < 0.01) and was also considered as the principal factor by partial-correlation analysis. These results showed that sap exudation required daily air-temperature fluctuation from below to above $0^{\circ}C$, and the amount of sap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highest daily-temperature and DBH of tree.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의 고로쇠나무 수액의 출수와 영향인자들을 분석하여 최적의 수액출수 조건을 얻고자 출수량, 고로쇠나무 흉고직경, 시험지의 기온과 상대습도를 2008년 1월 15일~3월 28일의 기간에 측정하여 출수량과 다른 측정값들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액 출수량은 고로쇠나무의 직경이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출수에 필요한 최소 흉고직경은 17.1 cm로 분석되었고, 출수 시기는 직경별로 차이가 없었다. 수액 출수가 관찰될 때 일최저기온은 $-2.4{\pm}1.5^{\circ}C$, 그리고 일최고기온은 $6.0{\pm}1.8^{\circ}C$로 영상과 영하의 기온이 교차 하였고, 반면에 하루 종일 영상 혹은 영하의 기온을 유지시 출수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수액 출수량과 기온 및 대기습도와의 상관분석에서 수액출수량은 일최고기온, 일교차, 일최고습도, 일최저습도, 일평균습도에 유의성이 있었으며, 수액출수량과 일최고기온의 상관계수는 0.768 (P < 0.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줄이들 인자들에 대한 편상관 분석결과 일최고기온이 주요 영향인자이었다. 수액 출수에는 일중 영하와 영상의 기온이 교차해야 하고 일최고기온이 높을수록, 그리고 고로쇠나무의 흉고직경이 클수록 출수량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철수, 곽애경. 1994a. 고로쇠나무의 수액출수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그 군락의 자원화에 관한 연구 : 생육지 환경과 군락의 구조. 한국생태학회지. 17(3): 333-344.
  2. 김철수, 곽애경. 1994b. 고로쇠나무의 수액출수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그 군락의 자원화에 관한 연구(2) : 환경요인 및 공시목의 회복. 한국생태학회지. 17(4): 533-545.
  3. 김홍은, 권기철, 박철하, 조남석. 1998. 소백산지역의 수액채취수종의 분포 및 수액채취량. 목재공학. 26(3): 81-92.
  4. 박정호, 안종만, 강학모. 1999. 수액채취 생산활동이 농림업생산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7(2): 65-75.
  5. 박형순, 송원도, 나천수. 1989. 백운산 지역 고로쇠나무의 수액채취량과 생장 및 온도와의 관계. 임업육종연구보고. 25: 30-34.
  6. 산림청. 2005. 수액 채취관리지침. http://civil.forest.go.kr.
  7. 안종만, 강학모, 김준선. 1998. 고로쇠나무 수액의 채취와 유통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7(3): 391-403.
  8. 윤승락, 조종수, 김태옥. 1992. 자작나무와 단풍나무류의 수액채취 및 이용. 목재공학. 20(4): 15-20.
  9. 이경준, 차윤정, 박종영, 박정호. 1995. 고로쇠나무 자생지의 기상, 입지환경, 나무크기, 천공방법이 수액 유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연습림보고. 31: 1-16.
  10. 이병두, 정주상, 권대순. 2006. 퍼지집합과 GIS를 이용한 고로쇠나무 임분의 수액채취 적지 분석. 한국임학회지. 95(1): 38-44.
  11. 조남석, 김홍은, 민두식, 박철하. 1998. 건강음료로서의 자작나무 수액의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인자. 목재공학. 26(3): 93-99.
  12. Milburn, J. A. and P. E. R. O'Malley. 1984. Freeze-induced sap absorption in Acer pseudoplatanus : a possible explanation. Can. J. Bot. 62: 2101-2106. https://doi.org/10.1139/b84-285
  13. Robert, W. J., T. T. Mevin, and A. D. Michael. 1987. A Requirement for sucrose in xylem sap flow from dormant maple trees. Plant Physiol. 84: 495-500. https://doi.org/10.1104/pp.84.2.495
  14. Sauter, J. J. 1971. Physiology of sugar maple. Harv. For. Annu. Rep. 1970-1971, pp. 10-11.
  15. Tyree, M. T. 1983. Maple sap uptake, exudation, and pressure changes correlated with freezing exotherms and thawing endotherms. Plant Physiol. 73: 277-285. https://doi.org/10.1104/pp.73.2.277

Cited by

  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Goroshoe (Acer mono Max.) Sap with Collection Periods vol.40, pp.10, 2011, https://doi.org/10.3746/jkfn.2011.40.10.1482
  2.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Early Growth of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H. Ohashi by Harvesting Dates vol.24, pp.1, 2016, https://doi.org/10.7783/KJMCS.2016.24.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