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 Adjustment Method for Diverse Expressions of Same Emotion Depending on Each Character's Characteristics

캐릭터 성격에 따른 동일 감정 표현의 다양화를 위한 감정 조정 방안

  • Lee, Chang-Sook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Um, Ky-Hyun (Dept. of Game & Multimedia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 Cho, Kyung-Eun (Dept. of Game & Multimedia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이창숙 (동국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 엄기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대학 게임멀티미디어공학과) ;
  • 조경은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대학 게임멀티미디어공학과)
  • Received : 2010.02.08
  • Accepted : 2010.03.05
  • Published : 2010.04.20

Abstract

Along with language, emotion is an effective means of expression. By expressing our emotions as well as speaking language, we can deliver our message better. Because each person expresses the same emotion differently, this expression is a useful gauge to measure an individual personality. To avoid monotonous emotional expression from virtual charac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reation and deletion of the same emotion depending on each character's personality. This paper has attempted to def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at have an impact on each emotion and propose a method to adjust the emotion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emo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s been defined by matching the significance of specifie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ith the lexical meaning. In addition, using the Raw Score, the weighted value which is necessary for the adjustment, continuance and deletion of each emotion has been defined. Then, emotion was properly adjusted. When the same emotion was adjusted using actual personality test data, different results have been observed by personality. This paper has been conducted using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 which consisted of 5 broad domains and 30 sub domains.

감정은 언어 이외에 인간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언어와 더불어 감정을 표현함으로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감정의 각기 다른 표현은 개인의 성향을 가늠하는 척도로 이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가상 캐릭터의 감정 표현이 일률적이지 않으려면 성격 특성에 따라 동일 감정의 생성 및 소멸 폭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감정에 영향을 주는 성격 특성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감정을 증감 및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세분화된 성격 특성이 의미하는 바와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의 사전적 의미를 매치시켜 특정 감정이 어떤 성격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정의하였다. 또한 성격 검사에서 얻어진 원점수를 활용하여, 각 감정의 증감 및 지속, 소멸을 위한 가중치를 정의한 후, 이를 토대로 감정을 조정하였다. 실제 사람의 성격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일한 감정을 조정한 결과, 성격 별로 다른 결과치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5개의 차원과 30개의 하위 특성으로 이루어진 NEO-PI(NEO Personality Inventory)성인판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훈구, 이수정 이은정, 박수애, 정서 심리학, 법문사, 2002
  2. 박아청,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6
  3. Ekman, 얼굴의 심리학, 바디 출판사, 2006
  4. Gerd Ruebenstrunk, Emotional Computers,1998
  5. I. Wilson, "The Artificial Emotion Engine, Driving Emotional Behavior", Proc. AAAI Spring Symp., 1999
  6. L. Chittaro, M. serra, "Behavioral Programming of Autonomous Characters Based on Probabilistic Automata and Personality", J. Computer Animation and Virtual Worlds, Vol.15, pp.319-326, 2004. https://doi.org/10.1002/cav.35
  7. S. Kshirsagar, N. Magnenat Thalmann, "A Multilayer Personality Model", Proc. Second Int'l Symp. Smart Graphics, Vol.24, pp.107-115, 2002.
  8. Chang-Neng Zhou, Xue-Li Yu, Jing-Yu Sun, Xiao-Lin Yan, "Affective computation Based NPC Behaviors Modeling",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Agent Technology, pp.343-346, 2006.
  9. A. Egges, S. Kshirsagar, and N. Magnenat- Thalmann. Generic personality and emotion simulation for conversational agents, Computer Animation and Virtual Worlds, 15(1):1-13, 2004 https://doi.org/10.1002/cav.3
  10. Y. Zong, H. Dohi, M. Ishizuka, "Emotion Expression Function attached to Multimodal Presentation Markup Language MPML", IEEE Multimedia Software Engineering, pp.359-365, 2000.
  11. J. Cassell et al., "BEAT : The Behavior Expression Animation Toolkit", Proc. ACMSIGGRAPH '01., pp.477-486, 2001.
  12. W. Su, B. Pham, A. Wardhani, "Personality and Emotion -Based High-Level Control of Affective Story Characters", IEEE Transaction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pp.281-293, 2007
  13. 김영환, 문수백, 홍상황, 심리검사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14. 강봉규,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동문사, 2000
  15. 이창숙, 엄기현, 조경은, 행동을 통한 복합 감정 표현 캐릭터 시스템 설계, 한국멀티미디어 학회 춘계 학술 발표, Vol.12, No.1, 2009
  16. 이창숙, 엄기현, 조경은, 행동을 통한 복합 감정 표현 캐릭터 시스템 설계, 한국멀티미디어 학회 춘계 학술 발표, Vol.12, No.1, 2009
  17. 김향숙, 한국어 감정표현 관용어 연구, 한국문화사, 2003
  18. 김은영, 국어 감정동사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04
  19. 한덕웅, 대인관계에서 4단 7정 정서의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4., No.2, pp.145-16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