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cultural Comparison of Individualism among Chinese, Japanese, Netherlander and Korean

중국, 일본, 네덜란드, 한국의 개인주의 감성 비교

  • Received : 2009.12.14
  • Accepted : 2010.01.18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compare cross-cultural individualism, and consider an influence of nationality, gender and age on individualistic propensity. The survey data include 271 Chinese, 251 Japanese, 262 Netherlander and 267 Korea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named independent action, profit and opinion, indifference on other and will, were found out. The result of comparison on nationality, Netherlander and Japanese has a strong individualistic propensity, and Korean has a remarkable collective propensity. Chinese were middle grade among 4 countries. It can be said that certain factors correlated with a certain country, because Netherlander's answer on questions belonged to profit and opinion factor were highest, and Japanese's one belonged to indifference on other were highest. On gender, Man was more individualistic better than woman. On age, twenties has strong collective propensity better than other age groups. The number of significant difference on comparison among countries is 21 in 21 questions, but the number on gender or age is 6 or 7.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ationality (or culture) is most useful variable to grasp individualism.

이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네덜란드의 개인주의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고찰하고, 개인주의에 미치는 국가, 성별, 연령 등의 영향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한국 267명, 중국 271명, 일본 251명, 네덜란드 262명의 데이터를 통계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요인분석 결과, 개인주의를 구성하는 하위개념들로 볼 수 있는 4가지 요인들('독자행동', '익과 의사결정', '타인 무관심', '자신의 의지')을 추출하였고, 이들 요인들이 특정 국가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어 국가별 비교를 통해, '네덜란드,일본>중국$\gg$한국'의 순으로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덜란드는 여러 문항에 걸쳐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나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는 낮은 수치를 보인 반면, 일본은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 가장 높은 개인주의 성향을 보였다. 한국은 가장 집단주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개인주의성향이 강하였다. 연령에 있어서는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집단주의 성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문항 중 유의차를 보인 문항수는 국가별 비교에서는 21개 문항 모두, 성별은 6개 문항, 연령은 7개 문항으로 나타나, 국가가 개인주의 구분의 가장 유용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남, 신만수 (2001). 한국, 인도네시아, 중국 종업원 조직몰입특성에서 개인적 가치성향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30(3), 877-904.
  2. 김기옥, 윤원아 (2000). 소비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관한 척도개발, 한국소비자학연구, 11(1), 1-14.
  3. 김서균 (2003). 아시아 5개국 현지 근로자들의 직무가치 성향분석. 사회연구 5호, 215-243.
  4. 김영기, 한선 (2005). 인터넷의 횡단적 속성과 이용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9-2호, 564-596.
  5. 김윤명 (2009). 청소년과 성인이 지각하는 한국인의 특성: 집단주의-개인주의 문화차원에서.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 21호, 10-44.
  6. 도준호, 조동기, 황상재, 박지희, 이승아 (2000). 인터넷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0-31. 인성문화.
  7. 박용구 (2007). '個人' 對'間人': 일본인론의 탈오리엔탈리즘화 과정. 일본연구논총 26호, 365-392.
  8. 박홍규 (2008). 작은 나라에서 잘 사는 길. 서울: 휴먼비전.
  9. 심정희 (2007).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행동, 의복 추구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11), 1574-1585.
  10. 안준희 (2009). 그다지 개인주의적이지 않은 미국인들: 미국 중산층의 친사회적 아동 기르기. 한국문화인류학 42(1), 111-143.
  11. 조긍호 (1996). 문화유형과 타인이해 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15(1), 104-139.
  12. 최장근 (2008). 일본의 이혼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의 이혼구조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일어일문학회. 일어일문학연구 66집, 329-347.
  13. 한규석 (1991).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론의 현황과 그 전망. 한국심리학회지 10(1), 1-19.
  14. 한민,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소혜, 장웨이 (2009). 새로운 문화-자기관 이론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중국,일본 대학생들의 자기관.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8(1), 49-66.
  15. 황달기 (1996). 일본사회를 설명하는 '집단모델'의 특징과 한계. 일본학보 제 37집, 451-467.
  16. Benedict, R. (1974). 국화와 칼: 일본문화의 틀[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Patterns of Japanese Culture] (김윤식, 오인석 역). 서울: 을유문화사(원저는 1946에 출판)
  17. Hofstede, G. (1995). 세계의 문화와 조직[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차재호, 나은영 역). 서울: 학지사(원저는 1991에 출판)
  18. Hui, C. H. (1998). Measurement of Individualism - Collectivis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2, 17-36.
  19. Triandis, H. C., & Gelfand, M. J. (1998).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1), 118-128. https://doi.org/10.1037/0022-3514.74.1.118
  20. 濱口惠俊(2003). 間の文化と獨りの文化. 知泉書館.
  21. 하마구찌 에슌 濱口惠俊, 쿠몬 슌뻬이 公文俊平 편저. (1992). 일본인과 집단주의.[日本的集団主義] (황달기 역). 서울: 형설출판사(원저는 1982에 출판)